경향신문

“그때 우리가 ‘무공천’했다면 어떻게 됐을까?”...민주당 뒤늦은 후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그때 우리가 ‘무공천’했다면 어떻게 됐을까?”...민주당 뒤늦은 후회

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들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4ㆍ7 재보선 참패와 관련해 초선 의원들의 입장을 밝힌 뒤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들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4ㆍ7 재보선 참패와 관련해 초선 의원들의 입장을 밝힌 뒤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

“그때 ‘당헌·당규’를 안 바꾸고 그냥 ‘무공천’ 했다면 어땠을까?”.

4·7 재·보궐 선거에서 패배한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최근 회자되는 ‘질문’이다. 박원순·오거돈 전 서울·부산시장의 성범죄 사건이 선거 원인인 만큼 당헌·당규대로 ‘무공천’ 했어야 했지만, 오히려 당헌·당규를 개정해 선거에 나서 참패하면서다. ‘뒤늦은 후회’인 셈이지만, “야당이 이겼겠지만 손해는 덜 봤을 것”부터 “내년 대선을 위한 보약” 등 제각각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은 지난해 11월 두 시장 선거 공천 여부를 전 당원 투표에 붙여 86% 찬성으로 공천을 결정했다. 민주당은 “공천 정당성을 확보했다”고 자평했다. 그러나 당의 헌법이자 법률인 당헌·당규를 정치적 필요에 따라 고치는 데 대한 당 안팎의 비난과 지지층 이탈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았다.

실제 이 같은 우려와 비판은 재·보선 결과로 그대로 드러났다. 이제서야 당 안팎에서는 “그때 무공천 했다면 결과가 달라졌을까”라고 되묻고 있다.

정치권에선 “야당 승리로 끝났겠지만 이 정도 참패는 없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먼저 나온다. 민주당 후보 없이 치러진 선거는 국민의힘이 쉽게 승리했으리라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 야권 입장에서는 승리를 눈 앞에 둔 만큼 단일화 협상이 더 ‘복잡다단’했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민주당으로선 야권의 분열을 기대할 수도 있다는 뒷말이 나오는 대목이다.

여권 입장에선 선거에 ‘참전’하지 않음으로써 얻는 ‘정치적 득실’이 판이하게 달랐을 수 있다. 지지층 이탈이 적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선 제기된다. ‘반성’이라는 불출마의 명분이 강한 만큼 여권이 ‘도덕성’ 측면에서 야권을 압도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 경우 재·보선에서 민주당에게 등을 돌린 20·30대 젊은층의 ‘민심 이반’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화됐을 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반면 당 일각에서는 “어차피 총알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말한다. 두 시장의 성범죄 사건이 아니었더라도 한국토지주택공사(LH) 투기 의혹 등 부동산 민심이 최악에 치달으면서 여권을 향한 지지와 표심은 떨어져나갈 수밖에 없었다는 계산이다.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과 박주민 의원 등의 전·월셋값 인상 논란이 대표하는 ‘내로남불’이 잇따른 것이 여권에 악재가 됐기 때문이다.

민주당에서는 이 같은 후회 속에 1년밖에 남지 않은 차기 대선을 걱정하고 있다. 강경파 일부는 되려 “이번 선거에서 깨졌으니 이제 ‘역전의 드라마’를 완성할 초석이 마련됐다”며 역설적으로 반기고 있다. 하지만 당내 대부분은 위기감이 더 크다. 민주당 중진 의원은 11일 통화에서 “민심을 바라보고 명분이 명확한 정치는 정치적 실리를 추구하는 정치보다 더 강하다”며 “첫 출발부터 잘못된 재·보선은 통렬한 반성·성찰만이 해답이다. 내부 다툼만 벌인다면 또 다시 지난해 11월 같은 실수를 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