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윤호중 “돌이킬 수 없는 개혁”…박완주 “민심 이길 당심 없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윤호중 “돌이킬 수 없는 개혁”…박완주 “민심 이길 당심 없다”

민주당 원내대표 후보들 1차 토론회

토론회 시작 전 환담 윤호중(왼쪽),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후보가 13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합동토론회 시작 전 대화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토론회 시작 전 환담 윤호중(왼쪽),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후보가 13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합동토론회 시작 전 대화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윤 “당장 일을 시작해야…원구성 재협상할 시간 없어”
박 “당·정·청 협의가 민심에 부합했는지 재검토해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선거에 나선 윤호중·박완주 의원의 ‘색깔’은 명확히 달랐다. 윤 의원이 ‘당심’에 가깝다면 박 의원은 ‘민심’에 가까이 다가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3일 열린 첫 후보 토론회에서 윤 의원은 당·정·청 관계 강화를 통한 흔들림 없는 개혁 추진을, 박 의원은 당·정·청 관계 재정립에 기반한 개혁의 속도조절을 강조했다. 야당과의 원구성 재협상 가능성을 두고도 윤 의원은 선을 그은 반면, 박 의원은 추진 방침을 시사했다.

토론회에서 두 후보는 재·보궐 선거 참패 후 혁신 방안부터 갈렸다. 윤 의원은 “다시 돌이킬 수 없는 강력한 개혁”을 강조하며 상대적으로 당심에 기댔다. 그는 또 “야당이 반대하더라도 입법청문회를 여당 주도로 열어 전문가뿐 아니라 국민들을 국회의사당 안으로 끌어들이겠다”고 말했다. 검찰개혁 등 기존의 입법 과제를 흔들림없이 추진하되 국민 의견을 추가로 듣겠다는 취지다.

반면 박 의원은 “변화와 혁신의 출발은 민주당 가치와 국민 공감력 회복”이라며 민심을 더 부각시키는 모습이었다. 그는 “민심을 이길 수 있는 당심은 없다”며 “개혁성도 중요하지만 개혁 성과가 국민에게 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 공감대를 얻지 못하는 개혁의 ‘속도조절’과 ‘수정’을 시사했다.

두 후보 모두 당·정·청 관계에서 당의 비중이 커져야 한다고 말했지만 방법은 달랐다. 윤 의원은 “강력한 당·정·청 협력체계를 만들어서 정책 역량을 높여가겠다”며 기존 시스템 강화를, 박 의원은 “지난 1년간 당·정·청 협의가 민심에 부합했는지 검토하겠다”며 관계 재정립을 거론했다.

야당과의 협치 의지를 가늠할 수 있는 국회 상임위원장 배분 등 ‘원구성 재협상’ 여부도 엇갈렸다. 윤 의원은 “1기 원내대표단의 원구성 협상은 지금도 유효하다”며 “야당과 재협상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 유능한 개혁정당이 되기 위해 당장 일을 시작할 때”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무너진 정치 복원과 관련해 제일 대표적인 게 상임위 배분 문제”라며 “국민들이 ‘저 정도는 몽니구나’ 하는 정도까지는 (야당에) 대화와 타협을 제시해야 한다”고 맞받았다.

전화통화나 문자메시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한 강성 지지층의 과격한 표현 방식에는 두 후보 모두 우려를 나타냈다. “다른 의견을 갖고 있다고 해서 공존하지 못하면 우리가 민주주의 정당이 아니라는 걸 보여준다”(윤 의원), “어느 순간부터 당을 위한 진정 어린 비판이 터부시됐다”(박 의원)는 것이다. 윤 의원은 “욕설이나 폄하 발언은 삼가달라”고 자제를 당부한 반면, 박 의원은 “강성 당원의 과도한 압박에 대해 이제 당내에서 토론해야 한다”며 공론화를 시사했다.

‘조국 사태’를 두고 두 후보는 ‘같으면서도 다른’ 입장을 보였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에 대한 검찰 수사가 과도했다고 비판하면서도 그 과정에서 불거진 ‘불공정’이 유권자들에게 실망감을 줬다는 점에 한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윤 의원은 “이 사건은 지난해 총선을 통해 국민의 심판을 받았다”며 선을 그었고, 박 의원은 “조국 사태를 논하는 것이 마치 금기를 넘는 것처럼 여기는 당의 문화는 옳지 않다”며 논의가 계속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15일 한 차례 더 후보 토론회를 열고 16일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