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10명 중 6명 "국민의힘이 '잘해서' 이긴 것 아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10명 중 6명 "국민의힘이 '잘해서' 이긴 것 아냐"

입력 2021.04.15 17:51

국민 10명 중 6명은 4·7 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승리한 이유를 ‘집권 여당이 잘못해서’라고 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5일 나왔다. 주택·부동산 등 정책 실패가 여당의 가장 큰 패인으로 꼽혔다. ‘국민의힘이 잘해서 이겼다’는 의견은 7%에 그쳤다.

■‘집권 여당 잘못’이 61%…국민의힘 선호 20대에서 가장 높아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2~14일 전국 성인 10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4월 2주차 전국지표조사를 보면, 4·7 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승리를 거둔 이유로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잘못해서’가 61%로 가장 높았다. ‘전임 시장의 잘못에 대한 심판’은 18%를 기록했다.

국민의힘이 정책·후보가 좋았거나 그동안 정치를 잘 해서 이겼다는 응답은 7%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국민의힘의 정책과 공약이 좋아서’가 3%, ‘국민의힘 후보가 좋아서’가 3%, ‘국민의힘이 제1야당으로서 정당활동을 잘해서’가 1%였다.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지난 8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 마련된 개표상황실에서 당선이 확실해지자 두손을 들고 환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지난 8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 마련된 개표상황실에서 당선이 확실해지자 두손을 들고 환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연령대별로 보면 ‘집권 여당이 잘못했다’는 응답은 50대에서 68%로 가장 높았다. 60대가 66%, 70대 이상이 64%였다. ‘국민의힘이 잘 했다’는 응답은 20대 이하에서 16%로 가장 높았고 30대 10%, 40대 7% 순이었다.

■여당 패인은 주택·부동산…잘못 인정 안 하는 ‘내로남불’도

더불어민주당의 결정적 패인으로는 ‘주택·부동산 등 정책 능력의 문제’가 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가 18%로 뒤를 이었다. 이어 ‘야당과 협치하지 않고 일방적인 정책 추진’(15%), ‘전임 시장의 성추문 사건에 대한 제대로 된 사과와 반성 부재’(10%) 순이었다. ‘의혹 제기와 판세 오판 등으로 일관한 선거운동’은 6%였다.

주택·부동산 정책 능력이 패인이라는 응답은 30대(51%), 40대(49%), 20대 이하(48%) 등 주택 문제에 비교적 민감한 세대에서 응답이 높았다. 반면 40대 이상 중·장년층은 ‘협치의 부재’를 꼽은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70대 이상의 28%, 60대의 25%, 50대의 19%가 여당의 패인으로 ‘야당과 협치하지 않고 일방적인 정책 추진’을 꼽았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가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 1층에서 입장 발표를 한 뒤 굳은 표정으로 당사를 떠나고 있다. 박 후보는 당사에서 지도부 면담을 마친 뒤 개표상황실에는 들리지 않았다.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가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 1층에서 입장 발표를 한 뒤 굳은 표정으로 당사를 떠나고 있다. 박 후보는 당사에서 지도부 면담을 마친 뒤 개표상황실에는 들리지 않았다. 국회사진기자단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 때문에 졌다는 응답은 이념성향별로 크게 갈렸다.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가 결정적 패인이라는 응답은 진보 성향 유권자에서는 9%를 기록했지만 중도 성향 유권자에서는 20%, 보수 성향 유권자에서는 26%로 나타났다. ‘야당과 협치하지 않고 일방적인 정책 추진’도 진보 성향 유권자에서는 8%에 그친 반면 중도 성향 유권자에서는 17%, 보수 성향 유권자에서는 24%였다.

■‘더 잘하라는 경고’ vs ‘기대 접은 것’ 팽팽…40대는 ‘기대 여전’, 20대는 ‘기대 접었다’ 우세

이번 보궐선거 결과를 두고 민심이 정부·여당을 향해 ‘기대를 접지 않고 경고를 한 것’이라는 응답과 ‘기대를 접고 등을 돌린 것’이라는 응답은 각각 46%로 동일했다. 모름·무응답은 8%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기대를 접지 않고 경고한 것’이라는 응답은 40대에서 58%로 가장 높았다. 이어 50대가 52%, 30대가 47% 순이었다. 이들 연령대에서는 ‘기대를 접지 않고 경고한 것’이라는 응답이 ‘기대를 접고 등을 돌린 것’이라는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다. 40대에서는 21%포인트, 50대에서는 7%포인트, 30대에서는 1%포인트 순으로 전자가 높았다.

4·7 보궐선거일인 지난 7일 서울 성동구 아파트 단지 내 경로당에 마련된 행당 제2동 제1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4·7 보궐선거일인 지난 7일 서울 성동구 아파트 단지 내 경로당에 마련된 행당 제2동 제1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기대를 접고 등을 돌린 것’이라는 응답은 60대에서 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대 이하가 50%, 70대 이상이 47%로 뒤를 이었다. 두 응답 사이의 격차는 20대가 13%포인트로 가장 컸다. 70대 이상은 12%포인트, 60대는 11%포인트로 두 응답 간의 차이가 벌어졌다.

이번 조사의 응답률은 27.9%며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