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중앙정부는 우리가 간절히 바라는 기후위기 대책에 너무나 느리게 대응하고 있다. 좀 더 창의적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에인절 수 노스캐롤라이나대 환경·생태·에너지정책학부 교수(사진)는 2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1 경향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다급한 환경문제에 수치로 접근해 혁신 방안을 연구하는 그룹 ‘데이터 드리븐 인바이로랩’의 창립자이다.
에인절 수 교수는 “기후변화를 멈추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멈춰야 하는데, 남은 시간이 9년밖에 없다”며 “9년 동안 온실가스 배출이 현재의 50%로 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현재의 2분의 1로 감축해도 그다음 10년은 다시 25%를 줄이고 2050년까지는 넷제로(이산화탄소 순배출 0)를 달성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유엔환경계획에서 매년 정부 정책이 실제 얼마나 이행됐는지 점검하는데, 파리협약 목표에 전혀 가까이 다가가지 못하고 있다”며 “각 중앙정부는 우리가 간절히 바라는 대책에 대해 너무 느리게 대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정책 연구자들도 중앙정부 주도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효과가 없기 때문”이라며 “좀 더 창의적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가 높아지고 있다”고 했다.
에인절 수 교수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주체’가 한 국가의 정부나 국제기구에서 각 도시, 지자체, 전 세계 주요 기업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양한 기관들이 자기 권역을 벗어나 초국가적으로 지식을 공유하고 독려하며 기후위기 대응에 노력을 하고 있다”며 2010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파리협약에서 탈퇴했을 때를 예로 들었다. 그는 “당시 수천개의 도시와 기업, 대학 학장들이 연대해 ‘우린 파리협약을 지킬 것이다. 중앙정부가 하지 않아도 우리는 하겠다’고 선언했다”며 “기후위기에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에인절 수 교수는 유럽 9000개 이상의 도시가 기후위기 대응에 동참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유럽 도시 1만개 중 10% 도시의 기후행동을 분석한 결과 60%가 목표 달성을 위해 움직이고 있었다”며 “다만 목표를 달성하려면 중간 목표를 세우면서 이뤄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