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철도·버스…공공요금도 ‘들썩’

박상영 기자

LNG 등 원자재 가격 상승

코로나 손실, 공기업 압박

전기요금 인상 결정을 계기로 도시가스와 대중교통 등 주요 공공요금에 대한 인상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급속히 오른 데다 코로나19 사태 지속으로 해당 공기업 손실이 누적됐기 때문으로, 공공요금 ‘도미노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26일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도시가스 요금, 철도 요금, 고속도로 통행료, 대중교통 이용료 등 공공요금 인상 움직임이 가시화하고 있다.

당장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이 급등하면서 도시가스 요금 11월 인상설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도시가스 도매요금은 원료비에 따라 결정되는 구조로, 동북아 지역 LNG 가격 지표인 JKM이 지난해 7월 말 100만BTU(열량단위)당 2.56달러에서 지난 24일 27.49달러로 10배 이상 올랐다. 하지만 정부가 지난해 7월 이후 15개월째 요금을 동결하면서 미수금이 1조원 가까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수금은 가스공사가 수입한 LNG 대금 중 요금을 통해 회수되지 않은 금액을 말한다.

10년간 동결됐던 철도 요금도 인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철도공사는 지난해 1조3427억원의 적자를 낸 데 이어 올해도 1조1779억원의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철도공사는 ‘2021~2025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을 통해 “철도 운임에 대한 현실화 검토가 필요하다”고 명시했다. 6년째 고속도로 요금을 동결해온 도로공사도 고속도로 통행료 인상을 정부에 건의하겠다는 입장이다.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금 인상 가능성도 높다. 서울은 교통카드 기준 기본요금이 지하철은 1250원, 시내버스는 1200원으로 6년째 묶여 있다. 인천과 울산은 2015년 이후, 대구는 2016년 이후 시내버스 요금을 인상하지 않았다.


Today`s HOT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인한 해안 침식 모습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