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맵 이미 확정된 상황에 “정책 당위성만 부여할 뿐” 불신
온실가스 저감·탈석탄 계획도 “밀린 숙제 절반만 하겠단 것”
“청년 기후 서밋이 기후위기 해결에 실효성을 가질 수 있는 건가요?”(청소년기후행동 활동가)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때처럼 들러리만 서게 되는 것은 아닐지 우려됩니다.”(청년기후긴급행동 활동가) “여태까지도 그런 자리는 많지 않았나요?”(기후변화청년모임 빅웨이브 활동가)
문재인 대통령이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연설에서 각국 정상들에게 제안한 ‘청년 기후 서밋(정상회의)’에 대한 청년 기후활동가들의 반응이다.
문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열린 COP26 연설에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겠다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과 함께 청년 기후 서밋의 정례적인 개최를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기후위기 당사자인 미래세대와 기성세대가 함께 기후위기의 해법을 찾는다면, 지속 가능한 세계를 향한 인류의 발걸음도 한층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청년 기후활동가들의 반응은 차갑다. 윤현정 청소년기후행동 활동가는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듣겠다면서 청년만 부르는 것 자체가 ‘그림이 잘 나오는 것’을 생각한 것 같다”며 “이미 정부가 다 깔아놓은 판에 청년, 청소년들이 가면 그냥 정부 정책에 당위성만 부여하게 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이미 정부 로드맵이 확정된 상황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불신이 있는 것이다.
현유정 기후변화청년모임 빅웨이브 활동가는 “청년들이 기후변화에 더 관심을 갖게 되는 순기능이 있고, 참여하면서 역량이 높아지기도 한다”면서도 “기성세대와 청년이 만나는 자리가 계속 있었지만 청년들 얘기를 충분히 반영해주진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청년의 목소리를 들은 뒤) 후속조치까지 이뤄질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주면 좋겠다”고 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성명에서 “청소년 기후운동가 그레타 툰베리의 말처럼, ‘공허한 약속에 빠져 익사할 지경’”이라고 평했다.
2030 NDC 상향안과 ‘2050 탈석탄 공표’에 대한 비판 성명도 나왔다. 장다울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정책전문위원은 “50% 이상 감축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밀린 숙제를 절반만 하겠다는 무책임한 자세”라며 “글래스고에서 야심찬 기후위기 대책이 나오길 기다리는 세계 시민의 기대에 초장부터 찬물을 끼얹었다”고 말했다. 황인철 기후위기비상행동 공동집행위원장도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가 훨씬 과감한 감축 노력을 해야 하는데, 너무나 불충분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며 “특히 석탄발전소를 2050년까지 끌고 가겠다는 건 굉장히 부끄러운 얘기인데, 마치 대단한 결정을 한 것처럼 말하는 게 한국의 실상을 보여주는 것이란 생각이 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