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코리아가 3일 한국 기자들을 대상으로 한 첫 ‘정책 브리핑’을 열고 디지털 성범죄·불법 콘텐츠 유통 문제 등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트위터코리아는 내년 대선을 대비해 전담팀(TF)을 꾸린다는 구상도 밝혔다.
그간 트위터는 성착취물·마약 판매 등 불법 콘텐츠 유통의 온상으로 지목돼 왔다. 윤채은 트위터코리아 공공정책 총괄 상무는 이같은 지적에 “(공공정책) 업무를 4년 동안 해보니 왜 그렇게 느끼시는가에 대해선 알겠더라”며 “콘텐츠 이용이 자유롭고, 검색이 용이한 오픈 플랫폼 특성 때문에 (부정적 측면이) 더 두드러진 것 같다”고 말했다. 윤 상무는 “한편으론 트위터가 한국 사회의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운영원칙을 위반한 트윗이 전 세계 트윗 노출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1% 미만인 것으로 확인됐고, 악성 콘텐츠의 65% 이상은 이용자 신고 이전에 적발되어 전담팀의 검토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위터코리아는 다만 한국 내 이용자들이 올리는 콘텐츠 중 ‘음란물’ 또는 ‘성 착취물’로 취급될 소지가 있는 내용에 대해 “100% 지우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선을 그었다. 트위터가 국내 정책을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운영정책’을 따르는 점에서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윤 상무는 “이런 차이에 대해 한국 규제기관, 시민단체, 전문가들의 의견을 받아 본사에 적극적으로 개진하고, 관련 기준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알리고 있다”면서도 “내부 모니터링으로 위험 콘텐츠를 모두 다 지워버리는 형태는 100% 건강한 플랫폼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트위터코리아는 이날 행사에서 공공 대화를 보호하기 위한 자사의 대응과 노력을 강조했다. 경찰청, 선거관리위원회 등 법 집행 기관과 협업해 위험 게시물 삭제를 요청할 수 있는 전용 창구를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성범죄와 관련해 2019년부터 여성가족부 산하 성범죄 피해자 대응센터와도 패스트트랙을 통해 긴밀히 협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상무는 “트위터의 운영 원칙은 죽어있는 문서가 아니라 살아있는 문서”라며 “새로 대두되는 문제에 따라서 트위터 정책도 계속 업데이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4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대선에 따른 정책 구상도 밝혔다. 트위터코리아에 따르면 올해 재보궐 선거 180만건, 지난해 21대 국회의원 선거 110만건 등 선거 기간에는 선거 관련 트윗이 집중해서 발생했다. 윤 상무는 “내년 대선에는 선거 트윗이 훨씬 더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돼 이를 대비한 TF를 구성해 준비 중”이라며 “먼저 이용자가 정당이나 선관위 공식 계정에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유도해 허위사실이나 가짜뉴스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유진 기자 yjleee@khan.kr
“어느 순간 ‘다른 방식의 사회적 학습이 이뤄지고 있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서승희 한사성 대표)
— 플랫 (@flatflat38) May 10, 2021
n번방 사건은 디지털 성폭력의 심각성을 깨닫는 계기였지만, 역으로 범행 방법을 널리 공유하고 학습하는 계기로 작용하기도 했다. https://t.co/wNSso7ZiM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