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K과학 장비, 무인 착륙선 타고 2024년 달나라 간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K과학 장비, 무인 착륙선 타고 2024년 달나라 간다

전기 입자 검출 감지기 ‘LUSEM’

천문연구원·경희대 공동 개발 중

NASA ‘아르테미스’ 지원 일환

K과학 장비, 무인 착륙선 타고 2024년 달나라 간다

한국이 개발한 관측용 과학 장비가 미국이 발사하는 무인 달 착륙선에 장착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오는 2024년 발사할 무인 달 착륙선의 제작업체로 ‘인튜이티브 머신즈’를 선정했으며, 이 업체가 발사할 달 착륙선에 한국이 개발 중인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를 탑재할 것이라고 1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LUSEM은 강한 전기를 띤 입자의 에너지를 달 표면에서 검출하는 감지기다. 대기가 없는 달에서는 우주에서 날아드는 전기 입자가 그대로 월면에 쏟아지는데, 이 때문에 우주인의 건강이나 우주선의 강도에 문제가 일어나진 않을지 확인하는 게 목적이다. 과기정통부는 그동안 측정된 적 없는 50keV(킬로전자볼트) 이상의 고에너지 입자를 관측할 계획이다.

LUSEM은 천문연구원과 경희대 선종호 교수팀이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현재 시제품(공학 모델)을 제작했으며, 앞으로 지상에서 각종 성능 시험을 할 ‘인증 모델’과 실제로 달 착륙선에 실을 ‘비행 모델’을 만들 계획이다.

무인 달 착륙선 발사는 미국이 추진하는 ‘상업용 달 탑재체 서비스(CLPS)’ 계획에 따라 추진되는 것이다. 이 계획은 인간을 달에 재착륙시키려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게 목적이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무인 달 착륙선이 발사되며 NASA는 사업 기획과 관리를, 민간기업은 착륙선의 개발과 발사, 운영을 맡는다.

정부는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로 아르테미스 약정에 서명했으며, 이후 한·미 양국은 달 탐사에 한국이 참여하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의해 왔다. 이번 LUSEM 탑재는 이 같은 협력의 일환으로 성사된 첫 성과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앞으로 한국의 과학 탑재체를 추가로 달에 보내기 위해 NASA와 협의할 것”이라며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한국이 참여하는 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