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자 퇴원 후 극단적 선택 비율, OECD 평균의 1.5배

노도현 기자
일러스트 김상민 기자

일러스트 김상민 기자

국내에서 정신질환자가 퇴원 후 30일·1년 내에 극단적 선택을 하는 비율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평균보다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조울증으로 불리는 ‘양극성 정동장애’ 환자의 초과사망비도 12개국 중 가장 높았다. 부작용 우려가 큰 ‘장시간 지속형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신경안정제)의 65세 이상 처방 인구는 평균보다 2.5배 많은 수준이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OECD가 발간한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Health at a Glance)에 수록된 지표로 국내 의료 질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29일 공개했다. 급성기 진료, 만성질환 진료, 약제처방, 정신보건 진료, 암 진료, 환자경험 등 6개 영역을 분석해보니 대부분의 지표들이 과거보다 개선됐다.

하지만 정신보건 진료 영역의 질적 수준은 평균보다 떨어졌다. 2018년 정신질환 퇴원 후 30일, 1년 내 자살률은 각각 0.19%, 0.65%로 OECD 평균(0.13%, 0.47%)보다 높았다. 2019년 조현병과 양극성 정동장애 환자의 초과사망비는 평균(각각 3.7, 2.9)보다 높은 4.5, 4.4였다. 만 15~74세 일반 인구집단의 사망률보다 두 질환자의 사망률이 4배 이상 높다는 얘기다. 특히 양극성 정동장애 환자의 초과사망비가 통계를 집계한 12개국 중 가장 높았다.

약제처방 지표도 부진했다. 2019년 65세 이상 환자의 장시간 지속형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처방률은 약제 처방 인구 1000명 당 124.4명으로 2011년(241.5명)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하지만 OECD 평균(49.9명)보다는 2.5배 많았다. 노인이 장기간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복용하면 인지장애, 낙상 등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장시간 지속형 약물은 과도한 진정작용으로 부정적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2019년 75세 이상 환자 중 5개 이상 약물을 만성적(동일 성분을 90일 이상 또는 4회 이상)으로 처방받은 다제병용 처방률은 70.2%로 OECD 평균(46.7%)보다 높았다. 2013년(67.2%) 이후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2019년 급성심근경색증 30일 치명률은 8.9%로 10년 전인 2009년(10.4%)보다 좋아졌지만 OECD 평균(6.6%)보다는 높았다. 반면 허혈성 뇌졸중 30일 치명률은 3.5%로 OECD 국가(평균 7.7%) 중 세 번째로 낮았다. 만성폐색성폐질환, 울혈성 심부전으로 입원한 환자는 인구 10만명당 각각 152.3명, 88.4명으로 평균(170.7명, 220.0명)보다 적었다. 당뇨병과 천식 입원환자는 10만명당 224.4명, 65.0명으로 평균(127.1명, 37.5명)보다 많았다.

2010∼2014년 암 환자의 5년 순 생존율은 자궁경부암과 식도암이 각각 77.3%, 31.3%으로 평균(65.5%, 16.4%)보다 높고 흑색종(59.9%)은 평균(83.0%) 아래였다.


Today`s HOT
용암 분출 잦은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 잠시나마 쉬어가는 란체론 해변 벚꽃이 만개한 이탈리아 토리노 공원 신기한 영국의 소인국 레고랜드, 사람들의 관심을 끌다.
칠레에도 피해주는 산불, 힘을 모아 진화하는 소방관들 올해의 신간 홍보 준비하는 라이프치히 도서전
프랑스에서 벌어진 노동조합의 임금 문제 요구 시위 산업단지 프로젝트 기념식 위해 베트남 방문한 싱가포르 총리
꽃이 피고 화창한 날이 온 미국과 영국의 어느 도시 6년 전 월마트에서 일어난 총기 난사, 예방이 절실.. 베네수엘라 이민자 지지 시위 역사적으로 중요한 날, 방글라데시 독립기념일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