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중원 상륙 윤석열 “난 충청의 아들”…원자력연 찾아 정권 비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중원 상륙 윤석열 “난 충청의 아들”…원자력연 찾아 정권 비판

선대위 출범 첫 지역일정 충청행…김병준·정진석 등 동행

“세종에 제2 청와대 집무실”…“킹메이커는 국민” 발언도

‘소형모듈원자로’ 살피는 윤석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9일 대전 유성구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원자력연구원을 방문해 연구원 관계자로 부터 소형모듈원자로(SMR)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소형모듈원자로’ 살피는 윤석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9일 대전 유성구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원자력연구원을 방문해 연구원 관계자로 부터 소형모듈원자로(SMR)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대선을 100일 앞둔 29일 충청으로 향했다. 선거대책위원회 출범 후 첫 지역 일정이다. 윤 후보가 아버지 고향인 충청을 출발점으로 삼아 중원 공략에 나선 것이다. 김병준 상임선대위원장 원톱 체제에 쐐기를 박는 측면도 있다.

윤 후보는 이날부터 2박3일간 충청권 일정에 들어갔다. 이날 세종·대전을 방문하고 30일 충북 청주, 다음달 1일 충남 천안과 아산을 찾는다. 윤 후보는 국회에서 선대위 첫 회의를 주재하며 “저는 충청의 아들이고 충청은 제 고향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충청은 캐스팅보트를 쥔 지역이고 대선 승부처였다”며 “중원인 충청에서 정권교체 신호탄을 쏘아올리는 것을 시작으로 ‘승리의 100일 대장정’에 나서고자 한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서울에서 태어났지만 부친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의 고향이 충남 공주라는 점을 들어 충청을 ‘정치적 고향’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윤 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이재명의 민주당을 만들겠다’고 한 것을 두고 “민주당 정부 실정으로부터 본인을 분리하고자 하는 쇼잉(보여주기)”이라며 “사당의 길을 가겠다는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야말로 독재적 발상에 다름 아니다”라고 했다.

윤 후보는 세종시 밀마루전망대를 방문, 세종시에 제2의 청와대 집무실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윤 후보는 “청와대 이전은 법 개정 사항이기 때문에 차기 정부를 맡게 되면 일단 제2 청와대 집무실을 이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또 “세종시는 국토와 행정의 중심”이라며 “주변 지역에 과학기술단지를 육성시켜 미래의 중심, ‘신중부시대’를 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대전 유성구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원자력연구원도 방문했다. 중단된 원자력발전소 건설 재추진이 공약이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반대하는 ‘반문행보’로 해석된다. 윤 후보는 대전의 한 카페에서 열린 카이스트 학생 등과의 간담회에서 “창원, 울산 원전 시설 납품 기업들은 완전히 망가졌고, 원자력 공학과 학생들을 만나보니 전공을 바꾼 사람이 60~70%가량 되고 원전산업의 앞날이 캄캄하다”며 “참 개탄해 마지않는 정부의 정책”이라고 말했다.윤 후보는 간담회 후 “안전 문제를 원안위(원자력안전위원회)가 브레이크를 걸었으면 모르겠는데, 다른 에너지원과 시설에 비해서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윤 후보는 대전의 다른 카페에서 ‘With 석열이형’이란 제목으로 청년들과 토크콘서트도 진행했다. 한 청년은 윤 후보와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 간 신경전을 거론하며 “정치에 환멸감을 느끼게 됐다”며 좌고우면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윤 후보는 “킹메이커는 국민이다. 또 2030 여러분이 킹메이커다”라고 답했다.

윤 후보의 충청 일정은 ‘김종인 없는’ 김병준 원톱 체제를 재차 확인하는 자리였다. 김병준 위원장과 정진석 국회부의장은 세종 일정을 함께했다. 김종인 전 위원장과의 조율은 실패했지만, 선대위를 출범하고 지역 일정에도 돌입하면서 윤석열호의 공식 출항이 시작됐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