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이것은 누구의 이야기인가 外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이것은 누구의 이야기인가 外

[새책]이것은 누구의 이야기인가 外

이것은 누구의 이야기인가

미국의 작가이자 인권운동가인 리베카 솔닛의 산문집이다. 솔닛이 2017년부터 2019년 사이 발표한 칼럼과 에세이 등을 엮었다. 미투 운동, 문화계 젠더 문제, 미국 대선과 투표권 억압 문제, 민족주의, 임신중지법, 기후위기 등 시대의 현안을 날카롭게 포착한다. 노지양 옮김. 창비. 1만7000원

[새책]이것은 누구의 이야기인가 外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피버디상을 수상한 미국의 과학 전문기자 룰루 밀러가 쓴 논픽션이다. 저자는 19세기 생물학자인 데이비드 스타 조던의 삶의 흔적을 좇았다. 조던은 화재와 벼락 때문에 자신이 모은 생물 표본이 유실되는 일들을 겪고도 연구를 계속해 수많은 생물에 이름을 붙였다. 정지인 옮김. 곰출판. 1만7000원

[새책]이것은 누구의 이야기인가 外

한국의 논점 2022

대선을 비롯해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한 해를 앞두고 한국사회가 주목해야 할 논점들을 40개의 키워드로 정리했다. 각 분야 전문가 40인이 정치, 경제, 평화, 불평등, 기후위기, 행복, 삶 등을 화두로 사회 구성원들이 더 관심을 가져야 할 의제들을 주제로 글을 섰다. 채진원 외 지음. 북바이북. 2만원

[새책]이것은 누구의 이야기인가 外

특별한 형제들

한국 근대사 격랑의 시기에 기구한 운명을 겪은 형제 13쌍에 대한 이야기다. 김일성종합대학 창설을 주도한 정두현의 동생은 서울대 법대 교수이자 친일파 윤치호의 사위인 정광현이었다. 애국가 작곡가 안익태의 형인 안익조는 친일인명사전에 이름을 올렸다. 정종현 지음. 휴머니스트. 1만8000원

[새책]이것은 누구의 이야기인가 外

진보를 찾습니다

한국 정치에서 진보라는 개념이 어떻게 받아들여져 확장돼온 것인지, 진보의 위기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살폈다. 노무현의 진보, 노회찬의 진보 등을 예시로 들며 진보라는 말이 가진 본질적 의미를 고민했다. 주로 정당과 국회를 취재해온 현직 기자가 썼다. 박찬수 지음. 인물과사상사. 1만6000원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