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미리보기’ 150만명 몰린 청년희망적금 21일 출시…5부제 방식 가입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미리보기’ 150만명 몰린 청년희망적금 21일 출시…5부제 방식 가입

연합뉴스

연합뉴스

최고 연 10%대 금리 효과를 볼 수 있는 ‘청년희망적금’이 21일 출시된다.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은 이날 오전 9시부터 대면·비대면 방식으로 청년희망적금 가입 신청을 받는다. 출시 전에 상품 가입 가능 여부를 조회하는 ‘미리보기’ 서비스에 지난 9~18일 약 150만명이 몰리는 등 청년들의 관심이 뜨겁다.

청년희망적금은 만 19∼34세 청년의 안정적인 자산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저축장려금을 지급하고 이자 소득을 비과세하는 상품이다.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이 출시하는 청년희망적금의 금리는 연 5.0~6.0%다. 저축장려금과 비과세를 고려하면 일반 적금 상품 금리로 환산했을 때 최고 연 10.14~10.49% 금리를 적용받는 것과 같은 혜택을 볼 수 있다.

저축장려금은 가입자가 만기까지 납입하면 받을 수 있다.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가 시중 이자와 별도로 지급된다. 매월 50만원 한도로 납입할 수 있으며, 만기는 2년이다.

출시 첫 주인 21∼25일에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가입 신청 요일을 달리하는 ‘5부제 방식’이 도입된다. 21일에는 1991·1996·2001년생, 22일에는 1987·1992·1997·2002생이 신청할 수 있다.

‘미리보기’ 서비스를 통해 가입이 가능하다는 알림을 받은 청년은 미리보기를 신청한 은행에서 별도의 확인 절차 없이 바로 가입할 수 있다. 미리보기를 조회하지 않았다면 가입 요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

올해 청년희망적금 사업예산은 456억원으로, 가입자들이 모두 월 납입 한도액(50만원)으로 가입한다고 가정하면 38만명을 지원할 수 있는 규모다. 미리보기를 했던 청년들이 모두 가입 신청을 하면 경쟁률이 4대 1 안팎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는 지난 9일 “청년희망적금은 가입 신청 순서에 따라 운영할 예정이며 예산규모 등을 고려해 가입 접수가 종료될 수 있다”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