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와 물가 상승 등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내외 경제가 더욱 충격받게 됐다. 여러 변수들이 얽히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공급망 차질의 심화,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 금융시장 혼란 등 경제·산업·금융 전 부문에서 혼란이 우려된다. 특히 대외 의존도가 높은 국내 경제는 에너지·원자재가 폭등과 수급난, 수출 위축, 물가 상승 등으로 더욱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다각도로 비상계획을 세우고 차질없는 실행으로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
국내 경제가 처한 현실은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에서 드러난다. 기존 전망치보다 1.1%포인트나 올려 잡은 3.1%로 수정했다. 물가안정목표인 2%를 넘어 4개월 연속 3%대 물가를 기록 중인데 상승세가 계속된다는 것이다. ‘3%대 고물가 시대’는 10년 만의 일이다. 그러면서도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종전(1.25%)대로 동결했다. 오미크론 확산으로 여전히 경기 회복이 불투명한 상황임을 감안한 조치다.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이자율을 올려야 하는데 경기 회복을 위해 미루는 복잡한 상황인 것이다.
이런 때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라는 새 변수가 돌출했다. 국내외 금융시장은 요동쳤다. 원·달러 환율은 올랐다. 러시아는 세계 원유의 12%를 차지하는 원유생산국이자 세계 1위의 천연가스 수출국이다. 이미 고공행진 중인 국제 유가가 더 치솟으면 수입의존도가 높은 국내 경제는 타격을 면하기 어렵다. 러시아는 주요 곡물·원자재 수출국이기도 해 글로벌 공급망을 더 교란시킬 수 있다. 수출에도 주름이 불가피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가 우리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1.5%, 0.1% 수준으로 크지 않아 이번 전쟁으로 인한 직접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들 나라에 수출하는 국내 기업이 각각 5400여개, 2300여개사인 점을 감안하면, 대러시아 수출통제에 수출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지난해 12월 적자로 돌아선 무역수지 악화가 심화될 수 있는 만큼 대응이 절실하다.
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에너지·원자재·곡물 등의 단기 수급에는 문제가 없다지만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복합 위기 상황을 민관협력으로 헤쳐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