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가 물·식량 부족, 생물 다양성 감소에 그치지 않고 경제적 피해, 건강 악화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보고서가 발표됐다. IPCC 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적응·취약성을 다루는 제2실무그룹(WG2)의 제6차 평가보고서는 제5차 평가보고서(2014년)보다 전 지구적 기후위기 상황이 한층 악화됐다고 강조했다. “전 지구적 차원에서 나서지 않는다면, 지속 가능하고 살 만한 미래를 지킬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될 것”이라며 “그 기회는 빠르게 닫히고 있다”고 분명한 목소리로 경고했다.
WG2의 6차 보고서는 속도가 빨라진 지구온난화로 인해 ‘복잡하고 연쇄적인 위험’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기온이 1.5도 상승하게 되면 3억5000만명의 도시인구가 물 부족에 시달리고 여러 생물종이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된다고 전망했다. 극심한 가뭄과 폭우, 홍수가 먹거리 시스템에 위협을 주게 된다. 또 감염병이 늘고,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사회적 약자와 저소득 국가에는 치명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한반도에서 고온 등의 기상이변이 농수산물의 감소를 가져오고, 육체적·정신적 건강을 위협할 것이라고 했다. 온열질환으로 인한 연간 사망자는 2050년에는 4%, 2090년에는 8%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해수면 상승에 따른 홍수 위험도 예고했다. 이로 인한 부산의 연간 피해액은 2070년에는 약 30억달러(약 3조6000억원), 2100년엔 약 74억달러(8조9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보고서에 인용된 연구 중 하나는 2030~2050년 한국의 어류 생산량이 2010~2030년 대비 49% 감소한다고 전망했다.
오는 25일 ‘탄소중립기본법’이 시행되고,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내년 3월까지 수립할 예정이다. 하지만 대선 후보들의 공약 경쟁에서 탄소중립은 주요 이슈가 되지 못하고 있다. 탄소 감축만으로는 기후위기를 막을 수 없다는데 대책은 제자리걸음이다. 기후변화 영향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서로 다른 위험과 상호 작용해 점점 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한다. 온실가스 배출 감축은 선택 사항이 아니다. 기후위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즉각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