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알림]러시아식 우크라이나 지명 표기를 바로잡습니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알림]러시아식 우크라이나 지명 표기를 바로잡습니다

  •   

경향신문은 기존에 러시아어 표기법에 따라 써왔던 우크라이나 지명을 앞으로 우크라이나어 발음대로 표기합니다. 이에 따라 수도 키예프는 키이우(Kyiv)로 적습니다. 이밖에 드네프르는 드니프로(Dnipro), 루간스크는 루한스크(Luhansk), 하리코프는 하르키우(Kharkiv), 체르니고프는 체르니히우(Chernihiv), 니콜라예프는 미콜라이우(Mykolaiv), 리비프는 르비우(Lviv) 등으로 표기합니다.

이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의 요청과 국립국어원의 새 우크라이나어 표기 지침에 기반한 것입니다.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은 지난 1일 한국에서 쓰이는 자국 지명 표기법이 러시아 발음을 기준으로 한다며 “우크라이나식 발음으로 표기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대사관은 공식 소셜미디어를 통해 “우크라이나 여러 지역의 지명이 침략국인 러시아의 발음으로 한국에서 표기된다는 사실은 우크라이나인들에게 커다란 상처와 아픔이 되어 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세계는 한민족이 독립과 자유를 위해 막대한 희생을 치렀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며 3·1절의 의미를 되새겼습니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