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 4인의 마지막 법정 TV토론회가 2일 열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윤석열 국민의힘, 심상정 정의당,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한 3차 토론에서 복지·저출생·젠더·노동 등 사회 분야 현안을 두고 120분간 논쟁을 벌였다. 토론 막판 이·윤 후보 간에 대장동 의혹을 둘러싼 네거티브성 공방도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후보 간 차별성이 드러난 시간이었다. 다만 시간과 형식의 제약으로 심도있는 논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복지정책에 대한 토론에서는 재원 조달 방안이 핵심 쟁점이 됐다. 심 후보는 “각 당 후보들이 정책 공약집을 내면서 재정 계획을 안 냈다”며 “증세 없는 공약은 허구”라고 비판의 날을 세웠다. 반면 ‘양강’인 이·윤 후보는 증세에 소극적이거나 부정적 입장을 보여 대비됐다. 인구절벽 대응 방안에서는 이 후보가 윤 후보에게 ‘페미니즘이 저출생의 원인’이라는 과거 발언에 대한 입장을 따졌다. 윤 후보는 ‘페미니즘은 휴머니즘의 하나’라는 답변으로 피해나갔다. 노동 이슈를 적극적으로 꺼낸 것은 심 후보였다. 심 후보는 고 김용균 노동자의 산재 사망을 거론하며 위험의 외주화가 이슈화됐음에도 비정규직의 직고용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안 후보는 탄소중립 이슈를 각 후보에게 물어 주목받았다.
이날 토론을 가장 뜨겁게 달군 것은 젠더 이슈였다. 이·심 후보는 ‘여성가족부 폐지’ ‘성범죄 무고죄 처벌 강화’ ‘n번방 방지법 반대’ 등의 입장을 밝혀온 윤 후보를 협공했다. 이 후보가 윤 후보의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는 발언의 진의를 다시 캐묻자, 윤 후보는 “완전히 없다고 할 수 없다”는 모호한 답으로 피해갔다. 윤 후보의 ‘성인지 예산 30조로 북핵 위협을 막겠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공세가 이어졌다. 윤 후보는 ‘성인지 예산’이 별도 예산이 아닌, 예산운용의 성평등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임에도 여전히 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3차 토론은 대선 후보 4인이 서로 공약에 대해 직접 따지고 자신의 논리로 반박할 수 있는 사실상의 마지막 기회였다. 토론을 보고 투표할 후보를 선택하고자 했던 유권자들에게는 시간이 짧게 느껴지고 갈증과 아쉬움이 컸을 법하다. 여야 후보들은 그동안 자신이 내놓았던 공약이 토론을 통해 어떤 평가를 받았는지 성찰할 필요가 있다. 부적절하거나 비현실적 공약이 있다면 바로잡고, 보완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개선해야 할 것이다. 대선이 이제 엿새 남았다. 후보들은 남은 기간 동안 유권자들에게 왜 자신이 대통령이 되어야 하는지 소상하게 설득하며 정정당당한 승부를 펼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