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하루 확진 30만명도 넘었다…누적 500만명 돌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하루 확진 30만명도 넘었다…누적 500만명 돌파

위중증 두 달 만에 1000명대로

작년 연말 ‘병상 대란’ 재발 우려

정부 “약 2000명까진 대응 여력”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두 달 만에 다시 1000명대로 늘어났다.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처음으로 30만명대에 올라섰고, 누적 확진자 수는 500만명을 넘어섰다. 위중증 환자 증가로 중환자 병상도 빠르게 차고 있어 지난해 말 델타 변이 유행 당시의 병상 대란을 되풀이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현 의료체계에서 위중증 환자 약 2000명까지는 안정적으로 대응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전문가들은 다른 질환의 중환자 등을 고려하면 실제 가용 가능한 병상 부족은 더 빨리 찾아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8일 0시 기준 위중증 환자 수는 1007명으로 전날보다 52명 늘었다. 1000명이 넘는 위중증 환자가 나온 건 델타 변이 유행 시기인 지난 1월3일(1015명) 이후 64일 만이다. 사망자는 186명 나왔다.

신규 확진자 수는 20만2721명으로, 주말·휴일 검사 수 감소 영향으로 전날보다 8000명가량 줄었지만 닷새 연속 20만명대를 기록했다. 이날 오후 9시까지 32만6834명이 추가 확진되며 역대 최다 확진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국내 누적 확진자 수도 500만명을 넘어서 10명 중 1명은 감염자인 상황이 됐다.

방역당국은 전날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3월 첫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최고 단계인 ‘매우 높음’으로 평가했다. 60세 이상 고령층 확진자가 늘어나고 있고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게 평가의 이유지만, 사실상 추가 방역대책은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환자 병상은 빠르게 차고 있다. 방역당국이 발표한 중증 병상 가동률은 59.6%로 전날에 이어 60%에 육박했다. 정부는 현재 의료체계로 위중증 환자 약 2000명까지 안정적으로 대응 가능하고, 병상 운영을 효율화하면 2500명까지도 감당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브리핑에서 “전체 중환자실은 전국적으로 1113개의 병상이 여유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확진된 임신부가 병·의원에서 분만할 경우 ‘분만 격리관리료’ 항목을 신설해 300%의 가산 수가를 적용한다고도 밝혔다.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에 위중증 정점이 올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전문가들은 중증 병상 부족 문제는 더 일찍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병상 부족 현상은 빠르면 이번 주말에도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