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새 정부 밑그림을 그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선이 17일 마무리됐다. 대선 8일 만에 7개 분과 인수위원 24명과 3개 위원회(기획·국민통합·취임식 준비)와 2개 특위(코로나 긴급대응·지역균형발전) 조직 구성을 모두 마친 것이다. 당선 후 7일 뒤 현판식을 한 김대중·이명박 인수위와는 비슷하고, 12~31일 걸린 노태우·김영삼·노무현·박근혜 인수위보다는 훨씬 빠르다.
하지만 신속한 인사와는 딴판으로 윤 당선인의 첫 인사엔 ‘서·서·오·남 인수위’라는 별칭이 붙었다. 서울·서울대·50대·남성 중심으로 짜여 다양성과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인수위원 24명 중 23명(출신지를 밝히지 않은 신용현 위원 제외)의 출생지는 서울이 11명(45.8%)이고 PK 4명, TK 3명, 경기·인천·강원·충북·전북 1명씩이다. 평균 나이는 57.6세, 위원장·부위원장·특별위원장을 모두 합치면 59.1세다. 2030은 없고 40대 2명, 나머지는 5070인 조직이 됐다. 서울대 출신이 13명으로 과반이고, 남성 20명·여성 4명으로 구성됐다. 지역·성비·세대·출신학교에서 역대 어느 정부 인수위보다 편향적이다.
분과별로 교수 10명과 기업인 2명이 포진했지만, 나머지 정치인·관료 12명은 이명박·박근혜 청와대나 정부에 몸담았던 인사가 중심이 됐다. 특히 이명박계는 윤 당선인 측근(장제원·권성동)에 인수위(김성환·김태효·김창경), 고문단(윤진식·임태희·이동관)까지 실세 그룹으로 부상했다. 안철수계 인사들이 더해졌지만, 구여권과 민주당 ‘올드보이’(김한길·김병준·박주선)가 윤석열 정부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은 셈이다.
당선 후 8일간 윤 당선인이 내놓은 메시지는 ‘청와대 이전’ ‘여가부·인사 할당제 폐지’ ‘MB 사면’으로 대표된다.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더욱 어려워진 민생이나 물가·공급망 위기 등과 동떨어진 사안들이다. 방향성과 시급성에서 찬반 의견이 뚜렷이 갈리는 갈등 내포형 의제들이다. 쓴 사람을 또 쓰는 용인술이나 당선 후 윤 당선인의 화두 모두가 선거 중 내걸었던 미래통합정부에 맞지 않는다.
인수위가 18일 현판식을 갖고 공식 활동에 들어간다. 인수위는 이번 대선이 비전 제시는 부족한 채 네거티브로 뒤덮였음을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점령군이 아니라는 안철수 위원장의 말을 지키면서 새 정부의 미래 청사진을 내놓는 인수위가 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