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철원군 근남면 육단리 양지마을에 전국 최초로 농업 이주노동자를 위한 기숙사가 들어선다.
12일 강원 철원군에 따르면 육단리 양지마을에 외국인노동자 24명을 수용할 수 있는 연면적 479㎡, 3층 기숙사가 오는 11월 준공을 목표로 조성되고 있다.
육단리는 와수리와 함께 군인들로 활기 넘쳤던 곳이지만, 2005년 위수지역이 해제된 뒤 상권이 쇠락했다. 이후 마을재생 차원에서 ‘국경없는 양지마을’ 사업이 2019년 시작됐고, 농업 이주노동자가 늘어나는 현실을 감안해 ‘농업인력지원공간’ 조성이 특화사업으로 포함된 것이다.
2020년 기준 근남면 인구는 2271명이고, 60세 이상 인구가 전체 40%에 이를 정도로 고령화가 심각하다. 반면 외국인 노동자는 600여명(등록 200명, 미등록 400명 추산)으로, 이들의 연평균 증가율은 29.2%에 달했다. 외국인노동자의 존재가 마을의 ‘성장동력’인 셈이다. 사업 계획도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갈등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농업인력 확보를 위한 다방면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돼 있다. ‘국경없는 양지마을’ 사업은 접경지역이라는 지역특성과 이주민과의 공존이라는 두가지 뜻이 담겨있다.
주민협의체에서 활동하는 박재서씨(69)는 “농사뿐만 아니라 고기잡이, 제조 공장들 다 멈춘다”며 “대한민국에 외국인 없으면 ‘스톱’”이라고 했다. 근남면은 비닐하우스에서 토마토·파프리카 등 특수작물을 많이 키우는 데 외국인노동자가 필수적이다. 보통 2000~3000평 농사에 2~3명, 7000~8000평은 10명이 필요하다. 고용허가제 노동자 월평균 임금(보험료 포함)이 220만원 정도였는데 코로나19로 외국인 노동자 유입이 끊겼다. 150만원 가량이던 미등록 외국인 노동자 임금이 220만~250만원까지 치솟았는데도 인력을 구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외국인노동자들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도 기숙사 건립은 주민들에게 꼭 필요한 사업인 셈이다.
2020년 12월 캄보디아 출신 이주노동자 속헹 사망 사건 이후 사업주가 외국인 노동자 고용 신청을 하면서 ‘기숙사 시설표’에 기숙사 사진·영상을 제출토록 하는 등 숙소 규제를 강화한 것도 추진력을 불어넣었다. 박씨는 “농민들이 억대 돈을 들여 새 숙소를 지을 여력도 안되고, 접경지역은 건축 허가 받기도 어렵다”며 “주민 협의를 통해 숙소를 짓게 됐다”고 말했다. 양지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남상호 팀장은 “농업인력지원공간이 성공적으로 운영되면 철원군의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시도를 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5%의 한국]①서바이벌 ‘비자게임’-당신은 이들의 이웃이 될 준비가 돼 있습니까
▶관련기사: [5%의 한국]②낯선 땅, 낯선 죽음-"3D가 아니라 4D죠···죽도록 일했으니까요"
▶관련기사: [5%의 한국]③“건보 부당이득금 3435만원 내놔라”…‘황당 행정’에 억울한 사람들
▶관련기사: [5%의 한국]④돌봄 돌려막기-어머니도, 아내도 아닌 ‘난, 이주여성’
▶관련기사: [5%의 한국]⑤‘다문화’라는 낙인-교실에선 자리 잡아 가는데…‘다문화 시즌2’ 못 따라가는 한국 사회
▶관련기사: [5%의 한국]⑥‘샐러드볼’의 도시에서-다양성·동화 그리고 평행적 삶…‘이주노동자의 도시’ 음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