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대법 "자녀와 연락 끊고 지낸 부모에겐 자녀의 불법행위에 대한 배상 책임 없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대법 "자녀와 연락 끊고 지낸 부모에겐 자녀의 불법행위에 대한 배상 책임 없다"

서울 서초동 대법원/박민규 선임기자

서울 서초동 대법원/박민규 선임기자

이혼 후 자녀와 연락을 하지 않고 지낸 부모에게는 자녀의 불법행위에 대한 배상 책임이 없다는 대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대법원 1부(주심 김선수 대법관)는 14일 사망한 B양의 유족이 가해자인 A군과 A군의 부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 상고심에서 A군 아버지의 배상 책임을 일부 인정한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수원고법으로 돌려보냈다.

2018년 당시 미성년자였던 A군은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알게 된 미성년자 B양과 성관계를 가지면서 이를 몰래 촬영했다. 이후 B양이 연락을 받지 않자 B양에게 사진을 보내며 유포하겠다고 협박했고, 다음 날 B양은 한 아파트에서 투신해 목숨을 끊었다.

A군은 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카메라등 이용촬영) 및 협박 혐의로 보호처분 결정을 받았다.

B양의 부모는 A군과 A군의 부모를 상대로 2억2000여만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A군의 부모에게도 A군을 교육·보호·감독해야 할 의무를 소홀히 한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1심과 2심, 대법원 모두 A군에게 60%, A군의 어머니에게 40%의 배상 책임을 인정했다. “책임능력 있는 미성년자의 불법행위로 인해 손해가 발생해 그 스스로 불법행위 책임을 지는 경우에도, 그 손해와 미성년자에 대한 감독의무자의 의무위반과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으면 감독의무자에게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고 했였다.

A군 아버지의 배상 책임에 대해선 판단이 갈렸다. A군의 아버지는 A군이 2살 때 A군의 어머니와 이혼했으며 A군의 어머니가 A군의 친권자로 지정된 이후로는 A군과 연락을 끊었다.

1심과 2심은 A군 아버지에게도 10%의 배상책임이 있다고 봤다. “자녀 보호·교양에 관한 권리의무는 친권자로 지정되지 못한 부모에게도 부여된다고 봐야 한다”고 했다. 친권자나 양육자가 아닌 부모도 면접교섭권을 통해 자녀의 보호·교양에 일정 부분 관여할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대법원은 A군 아버지에게 배상 책임이 없다고 봤다. 이혼 후 친권자나 양육자로 지정되지 않은 부모의 경우 ‘자녀에 대해 일상적인 지도·조언을 함으로써 공동 양육자에 준해 자녀를 보호·감독을 하는 경우’나 ‘자녀의 불법행위를 예견할 수 있었음에도 지도·조언을 하지 않거나 양육친에게 알리는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 등과 같이 감독의무 위반을 인정할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배상 책임을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