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대통령의 예능 소통

이용욱 논설위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tvN 예능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록(유퀴즈)’에 출연해 이야기하고 있다. tvN 제공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tvN 예능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록(유퀴즈)’에 출연해 이야기하고 있다. tvN 제공

정치가 연예 프로그램과 연계되기 시작한 것은 1988년 노태우 정부 들어 정치 풍자가 허용되면서부터다. 하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최병서 등 개그맨들이 정치인 성대모사를 하는 수준에 그쳤다. 정치인의 본격적인 예능 출연은 고 김대중 전 대통령에서 출발했다는 게 정설이다. 1996년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 이경규가 간다>는 야당 총재였던 DJ의 일산 자택을 찾았다. DJ로서는 민주 투사 이미지를 탈피할 기회였다. 훗날 많은 사람들은 이 장면들을 보고 “DJ가 위험한 빨갱이가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딱딱한 이미지의 정치인들이 대중적 호감도를 얻는 데는 예능 출연만 한 게 없다.

선거가 다가오면 정치인들은 예능 출연에 더욱 몸이 단다. 2012년 대선 당시 여야의 박근혜·문재인 두 후보는 SBS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에 차례로 출연했다. 올 대선에서 맞붙었던 윤석열·이재명 후보도 지난해부터 앞서거니 뒤서거니 TV 예능에 출연했다. 윤 대통령 당선인은 “야~이 좌식아” 등 배우 주현씨 성대모사로 친근감 심어주기를 시도했다. 이 후보 역시 부드러운 면모를 부각하려고 애썼는데, 둘 다 나름대로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치인의 예능 출연이 정치인을 미화한다는 비판도 있지만 대선과 같은 큰 선거에서 예능 출연은 필수다. 예능감이 떨어지는 후보는 손해를 각오해야 할 판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20일 tvN의 인터뷰 방식 예능 프로 <유퀴즈온더블럭>에 출연했다. 당선 후 첫 TV 출연이었는데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프로그램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며 논란이 일고 있다. 여기에 문재인 대통령과 김부겸 총리 출연이 프로그램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무산된 사실이 드러났다.

윤 당선인은 유독 시민과의 소통을 강조하고 있다. 용산으로 집무실을 옮기는 명분도 시민과의 소통이다. 기자회견이나 인터뷰보다 예능 출연이 훨씬 더 편할 것은 불문가지다. 이번 출연도 윤 당선인 측이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통령의 소통은 다소 재미없더라도 정직하고 진지해야 한다. 예능 소통은 당선 전 후보일 때로 끝나야 한다.


Today`s HOT
시드니 풋볼 월드컵 예선을 준비하는 호주 선수들 아름다운 선행, 구조 대원들에 의해 살아난 동물들 페르시아 새해를 앞두고 이란에서 즐기는 불꽃 축제 베르크하임 농장에서의 어느 한가로운 날
북마케도니아 클럽 화재, 추모하는 사람들 밤새 내린 폭우, 말라가주에 목격되는 피해 현장
산불이 일어난 후 쑥대밭이 된 미 오클라호마 동물원에서 엄마 곰의 사랑을 받는 아기 곰 '미카'
가자지구에서 이프타르를 준비하는 사람들 최소 6명 사망, 온두라스 로탄에 비행기 추락 사건 220명 사망, 휴전 협상 교착 상태서 공습 당한 가자지구 케냐를 국빈 방문한 네덜란드 국왕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