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가 코로나19 방역 동참으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지원 방안을 28일 발표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전제로 한 ‘피해지원금’ 지급, 손실보상제 강화, 금융과 세제·세정 지원 등이 핵심이다. 그런데 윤석열 당선인의 공약보다 물러선 데다 구체성도 없었다. 소상공인들이 실망하는 소리가 들려온다.
인수위가 이날 밝힌 것은 지원안이 아니라 피해조사 액수였다. 인수위는 ‘중소기업기본통계상’ 소상공인·소기업 약 551만곳이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대비 2020~2021년 입은 손실(방역조치로 발생한 영업이익 감소액 기준)이 약 54조원이라며 “과학적 추계에 근거한 이런 숫자 계산은 처음”이라고 자평했다. 그러면서 이를 토대로 “새 정부 출범 후 2차 추경 통과 즉시 피해지원금을 차등 지급하겠다”고 했다. 추경 규모와 지급액 등 구체적 수치는 실제 추진 과정에서 발표하겠다는 것이다. 단순 계산하면 현 정부가 7차례에 걸쳐 31조6000억원을 지급했으니 차액인 22조4000억원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추경 규모가 20조원 안팎이라는 것이다. 이는 ‘정부안과 별개로 600만원을 추가해 최대 1000만원 지원’ ‘지원 재정 규모 50조원’ ‘정당하고 온전한 손실보상’ 등 윤 당선인 공약과 크게 다르다. ‘일괄 지급’을 ‘차등 지급’으로 바꾼 데다 소상공업계의 손실보상 소급적용 요구도 수용하지 않았다. 소상공인들의 기대를 무너뜨리는 처사이다.
인수위가 밝힌 피해액의 추산과 보정률(영업이익 감소분 중 방역조치로 직접 발생한 손실의 비율) 상향·보상금 하한액수 인상, 지원 사각지대 발굴 등은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하루하루 힘들게 버티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이 애타게 기다리는 신속하고 두꺼운 지원과는 거리가 멀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지원 총규모도, 윤 당선인이 공언해온 손실보상 소급적용 언급도 없다. 600만원 이상 일괄 지급을 기대해온 상황에서 현 정부의 지원안보다 퇴행한 차등 지급안이 발표됐다”며 실망스럽다고 한 것은 당연하다.
2차 추경을 새 정부 출범 이후로 미룬 것도 유감이다. 당장 6·1 지방선거를 염두에 두고 윤석열 당선인 측이 지원금 지급을 자신들의 공으로 생색내려 한다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인수위는 ‘대선 1호 공약인 50조원 이상 재정자금을 활용한 정당하고 온전한 손실보상 약속을 이행하라’는 소상공인연합회의 목소리를 새겨야 한다. 소상공인들이 삶의 의지와 희망을 체감할 수 있도록 추경 편성 과정에서 두껍고 촘촘한 지원안을 짜야 한다. 만약 공약대로 지원하지 못한다면 그 이유를 소상하게 밝히고 이해를 구하는 게 정도이다. 선거를 앞두고 꼼수를 쓴다면 역효과만 부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