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2년 만의 미 금리 최대폭 인상, 취약계층 보호책 서둘러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했다. 통상적인 0.25%포인트가 아니라 ‘빅스텝’으로 불리는 0.5%포인트 인상은 22년 만의 최대 인상폭이다. 6월부터는 시중 유동성을 줄이는 양적긴축(대차대조표 축소)에도 착수한다. 경기 둔화 우려에도 치솟고 있는 물가를 잡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국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6일 예정된 가운데 어느 때보다 적절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금리 인상의 불가피성이 높아진 만큼, 인상할 경우 금융 취약계층의 부담을 덜어주는 등 후유증을 최소화할 대책도 강구해야 한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금리인상을 발표하며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다” “향후 두세 번 더 0.5%포인트 인상을 검토해야 한다는 인식이 퍼져 있다”고 말했다. 추가 금리 인상 등 긴축적 통화정책을 예고한 것이다. 미국은 3월 소비자물가가 급등해 4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인플레이션이 심각하다. 연준의 물가안정 의지는 국채·주택저당증권 매각을 통한 본격적 양적긴축에서도 잘 드러난다.

이제 금통위의 대응이 중요해졌다. 미 금리 인상으로 한국(1.5%)과 미국(0.75~1.0%)의 기준금리 격차가 좁혀져 금리 역전 가능성이 높아졌다. ‘빅스텝’ 두 번이면 역전된다. 금리 역전은 달러 강세, 국내의 해외 투자금 유출, 환율·수입물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4.8%나 급등해 13년6개월 만의 최고치였고, 기대인플레이션율도 9년 만의 최고 수준으로 심상치 않다. 금리 인상을 불가피하게 만드는 요인들이다.

문제는 기준금리 인상이 시중금리를 올려 저소득·저신용 계층,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2030세대 등 금융 취약계층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을 높인다는 점이다. 한은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경우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약 3조3000억원 늘어난다.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저신용 대출자들은 연소득의 약 3분의 2를 원리금 상환에 쓴다는 조사도 있다. 실질임금·소득 감소를 의미하는 물가 급등 속에 금리까지 오르면 취약계층 고통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곧 출범할 윤석열 정부는 ‘선별적 채무 구조조정’ 등 충격 완화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Today`s HOT
러시아 공습, 지하철로 대피한 우크라이나 시민들 프란치스코 교황과 팔레스타인 대통령의 만남 미국의 상점과 재단이 협력한 자원봉사 스페인 왕실의 이탈리아 방문
시리아의 정권 붕괴 이후 이스라엘의 계속되는 공습 철권정치의 끝, 본국으로 돌아가는 시리아 난민들
인도 원주민 문화의 전통이 보이는 혼빌 페스티벌 영국 정부의 토지 상속세 규정에 반대하는 농부들
아티스트들이 선보인 SF 테마 디스플레이 과달루페 성모 축일 축제를 준비하는 순례자들 2034년 월드컵 개최 장소 사우디아라비아, 전시회를 열다. 자원봉사단 후원자 카밀라 여왕이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모임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