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화학 연구원들이 신규 개발한 전기화학 전환 반응기를 살펴보고 있다. LG화학 제공.
LG화학이 공기 중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 원료를 만드는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했다.
LG화학은 9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공동연구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일산화탄소 전환 효율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일 수 있는 전기화학 전환 반응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일산화탄소는 합성가스, 메탄올 등 대체 연료, 플라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화학 원료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질이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전환하면 원료 생산과 함께 탄소 중립도 실현할 수 있다.
LG화학과 KIST가 이번에 개발한 반응기는 일산화탄소뿐만 아니라 각종 연료·화합물의 원료인 합성가스도 만들 수 있다.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비율을 전압 조절로 손쉽게 제어해 다양한 종류의 합성가스를 제조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분해·환원에 사용되는 전류 효율도 90% 이상으로 지금까지 논문에 보고된 수치 중 가장 높다고 LG화학은 설명했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두 기관은 앞으로 반응기의 크기를 10배 이상으로 키워 실제 양산이 가능한 기술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나아가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각종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인 에틸렌까지 생산하는 기술도 개발해 탄소 중립에 기여할 계획이다.
LG화학 최고기술책임자(CTO) 유지영 부사장은 “이번 연구 성과는 KIST와 함께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 데 의미가 있다”며 “탄소 중립 분야의 원천 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