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LG화학·KIST,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전환하는 반응기 개발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LG화학·KIST,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전환하는 반응기 개발

LG화학 연구원들이 신규 개발한 전기화학 전환 반응기를 살펴보고 있다. LG화학 제공.

LG화학 연구원들이 신규 개발한 전기화학 전환 반응기를 살펴보고 있다. LG화학 제공.

LG화학이 공기 중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 원료를 만드는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했다.

LG화학은 9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공동연구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일산화탄소 전환 효율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일 수 있는 전기화학 전환 반응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일산화탄소는 합성가스, 메탄올 등 대체 연료, 플라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화학 원료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질이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전환하면 원료 생산과 함께 탄소 중립도 실현할 수 있다.

LG화학과 KIST가 이번에 개발한 반응기는 일산화탄소뿐만 아니라 각종 연료·화합물의 원료인 합성가스도 만들 수 있다.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비율을 전압 조절로 손쉽게 제어해 다양한 종류의 합성가스를 제조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분해·환원에 사용되는 전류 효율도 90% 이상으로 지금까지 논문에 보고된 수치 중 가장 높다고 LG화학은 설명했다.

두 기관은 앞으로 반응기의 크기를 10배 이상으로 키워 실제 양산이 가능한 기술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나아가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각종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인 에틸렌까지 생산하는 기술도 개발해 탄소 중립에 기여할 계획이다.

LG화학 최고기술책임자(CTO) 유지영 부사장은 “이번 연구 성과는 KIST와 함께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 데 의미가 있다”며 “탄소 중립 분야의 원천 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