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 결과 “정파 유불리 따져”
연령·성별·소득 요인과 무관
검찰의 수사권을 축소한 검찰청법·형사소송법 개정과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은 지난 대선에서 누구를 지지했느냐에 따라 찬반이 극명히 갈린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 성별, 소득 수준 등 다른 요인과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드러나지 않았다.
지식 콘텐츠 스타트업 언더스코어가 여론조사 전문업체 데이터스프링에 의뢰해 지난 4~9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70세 미만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검찰 수사권 축소와 용산 집무실 이전에 대한 입장은 지난 3월 대선에서 어느 후보를 선택했느냐에 따라 달랐다.
조사는 ‘검찰 수사권을 지금보다 축소하고, 이를 경찰에 이전하는 검수완박이 필요하다’와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것은 바람직하다’는 문항에 대해 1점(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5점(매우 그렇다)까지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검찰 수사권 축소는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투표했다는 응답자의 68.4%가 찬성(다소 동의 32.3%, 매우 동의 36.1%)했다. 반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를 찍었다는 사람들 중에서는 57.4%가 반대(다소 반대 22.1%, 매우 반대 35.3%)했다.
용산 집무실 이전은 윤 후보에게 투표한 응답자에서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윤 후보에게 투표했다는 응답자의 39.8%가 찬성(다소 동의 25.6%, 매우 동의 14.2%)했고, 이 후보에게 투표했다는 응답자의 80.5%가 반대(다소 반대 16.6%, 매우 반대 63.9%)했다.
최창렬 용인대 교양학부 교수는 “어느 정파에 유리하느냐에 따라 입장을 정하는 건 아주 건강하지 않은 현상”이라며 “사안 자체를 이야기하지 않고 ‘묻지마 지지’를 하는 문제를 정치가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