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본투표가 1일 전국에서 실시된다. 향후 4년간 풀뿌리 자치를 이끌 광역단체장 및 교육감 각 17명,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779명, 기초의원 2602명을 뽑는다. 유권자 4430만명의 선택이 모여 지방 정부·의회·교육의 방향과 정책·정치의 주도권을 결정짓게 된다. 이날 국회의원 7명도 뽑는다.
공식 선거운동 마지막 날인 31일 여야 지도부는 격전지 수도권과 충청·강원·제주에서 유세를 펼쳤다. 국민의힘은 “정권교체의 완성은 지방권력 교체”라며 윤석열 정부에 힘을 실어달라고 호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부의 독선·독주를 막을 힘을 달라”며 지역 일꾼으로서의 경쟁력을 판단해달라고 맞섰다. 거대 야당의 검찰 수사·기소 분리 입법과 검찰국가 논란, 서·오·남(서울대·50대·남자) 편중 인사, 김포공항 이전 문제가 끝까지 선거판을 달궜다. 정의당은 진보정치도 일할 기회를 달라고 외쳤다. 흔히 지방선거는 17개 광역단체장의 당락으로 승패를 가늠한다. 이번에는 이재명 전 대선후보가 출마한 인천 계양을과 접전지 원주갑·제주을의 국회의원 보궐선거 결과도 주목된다. 대선 84일 만에, 윤석열 정부 출범 22일 만에 치르는 광역단체장·보선 성적표에 따라 정국·정책 장악력과 여야 지도부 거취, 여소야대 국회의 힘겨루기도 또 하나의 분기점을 맞게 된다.
이번 선거의 본류는 깨끗하고 유능한 지역 일꾼을 뽑는 것이다. 그 한 표의 가치는 크다. 지자체와 의회는 내 삶과 동네에 변화를 주고, 돌봄의 질을 결정한다. 교직원 57만명 인사와 한 해 예산 82조원을 관장하는 교육감들은 아이들의 교육과 급식을 책임진다. 그런데도 기초단체장·지방의원·교육감에 누가 나왔는지, 정책이 뭔지 모르는 ‘깜깜이’ 선거 양상도 빚어졌다. 또 한쪽에선 마을 이장이 대리투표를 하고, 경력·재산을 허위 기재하고, 금품·흑색선전으로 표밭을 오염시키는 일도 벌어졌다. 후보들의 정책과 예산을 찬찬히 살피고 견줘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 결과와 인물 됨됨이와 정치적 선택의 경중을 따지면 투표의 무게와 만족감이 더 커질 수 있다.
지난 27~28일 913만명(20.6%)이 사전투표를 마쳤다. 끝까지 옥석을 가리는 것은 유권자의 몫이다. 세 가지만 새겨보자. 나의 한 표가 동네와 정책과 정치를 바꾼다. 나의 냉소·외면이 무능한 부적격자를 당선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선·차악의 선택도 지방자치와 민주주의를 살찌게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