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김포공항 계류장 관제 한국공항공사로 이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김포공항 계류장 관제 한국공항공사로 이관

김포공항 계류장 모습. 한국공항공사제공

김포공항 계류장 모습. 한국공항공사제공

공항의 관제 업무는 기동지역 관제와 계류장 관제로 구분된다. 기동지역 관제는 공항 내 이동지역 중 활주로와 유도로 부분을, 그 외 여객 승·하기와 화물의 적재·적하, 급유, 정비 등이 이뤄지는 구역은 계류장 관제 관할이다.

김포공항 계류장 관제 업무가 국토교통부에서 한국공항공사로 이관된다. 기동지역 관제는 국토부가 계속 담당한다.

한국공항공사는 오는 16일 오전 1시부터 김포국제공항 지상 이동지역의 계류장 관제를 공식 개시한다고 15일 밝혔다. 그 간 김포공항 내 모든 항공교통 관제업무는 국토부 소속 김포 관제탑에서 수행해왔다.

공항공사 2020년부터 추진…업무 분담으로 안전사고 예방에도 기여

공항공사는 계류장 관제를 위해 2020년부터 시설개선사업을 추진해 관제탑 리모델링 등을 마쳤고, 관제 전문인력 채용도 진행해 현재 실무 관제사 14명을 두고 있다.

지난 3월에는 국토교통부로부터‘항공교통업무증명’을 취득해 공식 항공교통관제업무 기관으로 출범했다.

항공교통업무 증명은 항공교통업무 수행 필수 요건과 유지관리 체계 등을 국가가 인증하는 제도이다. 현재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정석비행장, 한서대에 이어 한국공항공사가 네 번째 취득이다.

공항공사는 김포관제탑 관제사는 이륙·착륙 항공기 관제에 집중하고, 계류장에서의 움직임은 신설되는 계류장 관제소가 관장해 효율성 향상은 물론 인적오류에 의한 사고예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공항공사는 향후 국내 공항의 계류장 관제업무 직접 운영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신설된 김포공항 계류장 관제소. 한국공항공사 제공

신설된 김포공항 계류장 관제소. 한국공항공사 제공

인천국제공항은 2001년 개항부터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담당해오고 있으며, 정부 공항 관제 업무를 공사로 이관한 것은 처음이다.

공항공사는 계류장을 북·동·서·중앙 4개 구역으로 나눠 관제할 계획이다.

한국공항공사 윤형중 사장은 “고품질 계류장관제 운영을 통해 항공교통을 이용하는 국민이 더욱 안전하게 항공여행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