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유정복 인천시장 당선인 “수도권매립지 사용, 임기 내 끝낼 것”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유정복 인천시장 당선인 “수도권매립지 사용, 임기 내 끝낼 것”

4년간 시민들 사연 경청

제물포 등 원도심 활성화

매립지 4자 협의 재추진

유정복 인천시장 당선인 “수도권매립지 사용, 임기 내 끝낼 것”

“이제 인천의 문제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깨달은 만큼, 모든 경험들을 인천시민을 위해 쏟겠다.”

유정복 인천시장 당선인(64·사진)이 지난 14일 인천 송도 G-타워에 마련된 ‘인천시장직 인수위원회 당선인’ 사무실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했다.

유 당선인은 지난 4년간의 ‘야인 시절’ 얘기부터 털어놓았다. 그는 “4년 전 인천시장 선거에서 떨어진 뒤 기업 등에서 사외이사와 고문 등을 제의했지만, 모두 거절했다”며 “그동안 혼자서 버스와 지하철을 타고 다녔고, 시장에서 상인들과 막걸리를 마시면서 허심탄회한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유 당선인은 앞서 2014년부터 2018년 인천시장을 역임한 바 있다. 이번이 재선이다.

유 당선인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승리한 요인을 묻는 질문에 “시민들이 ‘일 잘하는 시장’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8년 전 민선 6기 시장을 하면서 부채 3조4000억원을 갚아 ‘빚더미 도시’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게 했고, 영종∼청라를 잇는 제3연륙교 사업 확정과 서울지하철 7호선의 청라연장선 등 숱한 난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시민들이 봤을 것”이라며 “윤석열 대통령과도 긴밀히 협조해 현안이나 발전 방안을 적기에 추진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 당선인은 시정 운영 방향에 대해 원도심과 신도시지역 간은 물론 계층 간, 세대 간 조화로운 ‘균형’과 미래로 가기 위한 ‘창조’, 그리고 시민들에게 진정성 있게 다가가는 ‘소통’하는 시정을 펼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당선인 인수위원회는 이를 위해 균형발전·문화예술·복지 등 10개 중점과제와 118개의 공약을 마련 중이다.

그는 공약 1호인 ‘제물포 르네상스’를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제물포 르네상스는 해양수산부 소유 내항 일대 182만㎡의 소유권을 확보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 이곳에 역사·문화·해양관광·레저·문화 중심의 ‘하버시티’를 조성하는 것이다.

유 당선인은 “인천 발전에 가장 중요한 것은 원도심 활성화”라며 “1980년대 인천의 중심지였지만, 현재는 쇠락한 중구와 동구 등에 청년 창업공간 등 앵커 시설을 유치해 원도심을 되살려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내항 소유권은 해양수산부가 갖고 있어 작지 않은 난관도 예상되지만, 회피하지 않고 정부와 협의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설명했다.

유 당선인은 뉴홍콩시티 건설과 GTX(수도권광역급행열차)-D, GTX-E, 인천지하철 3호선 등 굵직굵직한 공약들도 연내 추진협의회를 구성해 추진전략과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 당선인은 “뉴홍콩시티는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개념”이라며 “홍콩이나 싱가포르에서 할 수 있는 사업은 인천에서도 할 수 있도록 규제도 풀고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해 다국적 기업과 외국인 투자자 등을 유치해 일자리 60만개와 청년 10만 창업을 일궈내 인천을 글로벌 중심 도시로 도약시키자는 구상”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선거에서 최대 쟁점 중 하나였던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해서는 “4년 전 제가 인천시장이었다면 이미 수도권매립지 문제는 마무리됐을 것”이라며 “민선 7기 인천시정이 퇴행시킨 것을 취임 후 곧바로 정상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천시와 서울시, 경기도, 환경부가 2015년 4자 합의한 대로 대체매립지를 마련할 수 있도록 인천시가 서울시와 경기도, 환경부를 압박했어야 했고,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도 인천시로 이전했어야 했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대체매립지 확보를 공약으로 밝혔고, 환경부도 후보지를 물색하고 있는 만큼 임기 내 수도권매립지를 종료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경기·환경부 등 3자가 추진한 대체매립지 공모는 2차례 무산됐고, 서울시는 대체매립지는 물론 소각장 부지 물색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 당선인은 수도권 대체매립지가 확보되면 현 박남춘 시장이 추진한 영흥도의 자체매립지는 다른 활용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유 당선인은 또 지역 화폐인 인천 e음카드 예산이 부족한 만큼, 애초 발행 목적인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지원하도록 정책을 바꿀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8년 전 인천시장으로 출마하면서 약속했던 ‘인천발 KTX’가 당초 2021년 개통에서 2025년으로 늦춰졌다”며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협의해서 조기 개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 당선인은 이어 “민선 8기 인천시장으로 선택해주신 데 대해 다시 한번 인천시민들에게 감사드린다”며 “300만 시민의 행복과 인천의 미래를 위해 죽도록 일하겠다”고 덧붙였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