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친윤 브러더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친윤 브러더스’

내홍설이 불거진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오른쪽)와 장제원 의원이 15일 서울 여의도 한 음식점에서 오찬을 한 뒤 나오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내홍설이 불거진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오른쪽)와 장제원 의원이 15일 서울 여의도 한 음식점에서 오찬을 한 뒤 나오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형과 아우는 2촌(寸)의 혈족관계다. 부부(무촌)·부자(1촌) 다음으로 가까운 거리다. 그 형제의 색깔은 여럿이다. KBS 사극 <태종 이방원>의 형제는 서로 죽고 죽인 핏빛이다. 조선 명종을 수렴청정한 문정왕후의 남동생 윤원로·윤원형의 운명도 비슷하다. 끝에는 권력을 독차지하려 다툰 형제였다. 그러나 세상엔 피를 나누지 않은 끈끈한 형제도 많다. 한날한시에 죽기로 한 삼국지·수호지 의형제들이 대표적이다.

형과 아우는 한국정치를 풀이하는 열쇳말이기도 하다. 계파·지연·학연 따라 형·동생이라 부르고, 그렇게 죽고 살자는 사이도 많다. 동교동계의 희로애락을 함께한 권노갑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친박계 좌장을 지낸 서청원 전 의원은 ‘맏형’ 소리를 듣는다. 이상득 전 의원은 ‘만사형통(萬事兄通·모든 일은 형으로 통한다)’ 놀림까지 받은 대통령의 힘센 친형으로 꼽힌다. 직선제 대통령 시대에 ‘형님’ 하면 떠오르는 세 얼굴이다.

다시, 여권에 실세 형제가 등장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62)과 장제원 의원(55)이다. 15년 넘게 ‘친이명박-비박근혜’ 노선을 걸은 두 사람은 윤석열 대통령을 만든 1등공신이다. 그러나 그 후로는 긴장관계가 됐다. 친윤 공부모임(민들레)을 만드는 장 의원을 권 대행이 제동 걸자, 장 의원은 “한번 형제는 영원한 형제”라며 물러섰다. 이준석 대표 성비위 징계 후에도 권 대행은 직무대행 체제로, 장 의원은 조기전당대회로 갈렸다. 내분설이 일자, 두 사람은 지난 15일 “한 뿌리”라며 오찬을 함께했다. 그리고 사흘 만인 18일, 장 의원이 “여당대표 말이 거칠다”고 직격했다. 권 대행이 강릉 지인의 대통령실 9급 채용을 “(장 의원에게) 압력 넣었다”고 한 말을 겨눈 것이다. 이번엔 권 대행이 “겸허히 수용”했다. 불화·봉합·불화가 이어진 한 달이었다.

이 티격태격은 여권에서도 계속될 걸로 보는 이가 많다. 위기엔 몸을 낮추지만, 정점에서 흩어져온 권력의 속성 탓이다. 미래를 보는 눈이 다른 두 사람은 이준석 대표의 경찰 수사 발표 후 다시 부딪칠 수 있다. 정치에서 의리는 아름다울 때도 있고, 거품이나 파국으로 끝날 때도 있었다. 때 이르게 권력을 과점한 ‘친윤 브러더스’의 끝이 궁금해진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