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김건희 여사의 진수식 커팅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김건희 여사의 진수식 커팅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28일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열린 정조대왕함 진수식에서 진수 도끼로 진수선을 자르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28일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열린 정조대왕함 진수식에서 진수 도끼로 진수선을 자르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새 배를 물에 띄우는 진수(進水)식 이야기는 차고 넘친다. 안전 항해를 기원하는 상징물·징크스가 많고, 그 유별난 의식은 동서고금이 다를 바 없다. 샴페인병을 선체에 부딪쳐 깨는 것은 중세 북유럽 바이킹족이 바다의 신 포세이돈에게 포도주를 따르던 데서 유래됐다. ‘갓마더(대모)’라 불린 여성이 금도끼로 진수줄을 자르는 전통은 19세기 초 영국 빅토리아 여왕이 시작했다. 탯줄을 자르듯 배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의례였다. 영어에서 배를 대명사로 받을 때 ‘She(그녀)’로 칭한다. 한국에서도 배의 진수줄은 여성이 자른다. 대통령 부인으로는 1974년 육영수 여사가 대형 유조선으로 첫 테이프를 끊었고, 여성 대통령은 2013년 김좌진함(잠수함)을 진수시킨 박근혜씨가 유일하다. 적·백·청 리본을 달아 비둘기를 날리는 미국이나 은도끼로 줄을 자르는 일본과 달리, 한국 배의 진수는 영국풍에 가깝다.

진수식에선 배 명명(命名)식도 치러진다. 한국 군함 이름엔 나름의 규칙이 있다고 한다. 구축함은 이순신·세종대왕함처럼 추앙받는 역사적 인물로 부른다. 호위함은 광역시·도나 도청소재지를, 초계함은 ‘천안함’처럼 중소도시명을 쓴다. 상륙함은 한국전쟁 때 탈환한 산봉우리나 명산을 붙이고, 고속정엔 참수리 같은 새 이름을 쓴다. 창군이래 군함명에 붙는 인물의 99%는 남성이고, 여성은 2015년 진수된 유관순함(잠수함)뿐이다. 진수식은 배 이름에 여성이 많은 영국 전통을 따르면서도, 존경할 여성 명사·독립운동가도 많은 한국에서 배 명명은 다른 셈이다.

28일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4번째 이지스구축함 ‘정조대왕함’ 진수식이 열렸다. 진수줄은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끊었다. 그의 등장에 눈길 쏠린 이유는 또 있다. 대통령 스페인 순방에서 ‘민간인 동행’이 시비된 지 한 달 만에, 수사받는 도이치모터스의 회장 아들이 대통령 취임식 VIP석에 앉은 논란이 커지던 중 공식행사에 나타난 것이다. 일회성인지, 대중활동 복귀인지는 알 수 없다. 때마침, 설화를 일으킨 김 여사 팬클럽 ‘건희사랑’ 대표는 이날 “개가 짖어도 새벽이 온다”며 사퇴했다. 대통령도 “처음 해봐서 모르겠다”던 부인의 활동이 매번 뉴스·구설이 되는 비정상적 상황은 언제나 끝날까.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