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주호영 “당 분열 조속히 수습…한 발 더 헛디디면 절벽 아래 떨어져”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주호영 “당 분열 조속히 수습…한 발 더 헛디디면 절벽 아래 떨어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에 ‘당내 최다선’ 주호영

“2년 전 마음가짐으로”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9일 국회에서 취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2년 전 마음가짐으로”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9일 국회에서 취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혁신보다 당 안정 방점…경륜 있고 친윤색 옅어 ‘중립’ 기대
비윤계도 ‘비토’ 정서 없어…혁신파는 “쇄신 카드는 아냐”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5선·대구 수성갑)은 9일 “비대위 첫째 임무는 당의 갈등과 분열을 조속히 수습해 하나 되는 당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주 위원장은 비대위원장 취임 기자회견에서 전날 폭우로 피해를 입은 국민들에게 위로를 전한 후 이같이 밝혔다.

주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와 우리 당을 향한 국민들의 질책이 너무나 따갑다”며 “초심을 잃고 심각한 신뢰의 위기에 직면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21대 총선 참패를 언급하며 “2년 전 절박하고 처절한 마음가짐과 자세로 돌아가자”며 “한 발만 더 헛디디면 절벽 아래로 떨어진다는 위기감으로 재무장하자”고 했다.

그는 두번째 과제로 당의 혁신과 변화를, 세번째 과제로는 경제와 민생 챙기기를 꼽았다. 네번째 과제로 차기 지도부 구성을 꼽았다.

주 위원장은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 새누리당 정책위의장, 바른정당·미래통합당 원내대표 등 원내 중책을 두루 거쳤다. 경륜과 안정감을 갖춘 합리적 인물이라는 당내 평가가 많다. 반면 혁신성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1960년 경북 울진에서 태어난 주 위원장은 2002년 대구지법 부장판사를 끝으로 법원을 나와 2004년 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소속 대구 수성을 후보로 출마해 당선됐다. 대구 수성을에서만 내리 4선(17~20대)을 지냈다. 21대 총선에서는 수성갑에서 당선됐다.

주 위원장은 이명박 정부 시절 초대 특임장관을 거치는 등 대표적인 친이계 인사로 분류됐지만 계파색이 짙지 않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 위원장은 윤석열 대선 경선 후보 시절에는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을, 대선 후보 시절에는 선대위 조직총괄본부장을 맡는 등 친윤석열계에 속한다. 하지만 윤 후보가 올 초 선대위 해체를 선언한 이후 2선으로 물러나면서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 이미지도 강하지 않다. 그런 까닭에 친윤계와 비윤계 양측의 ‘비토’ 정서가 없었다는 후문이다. 이준석 대표와 가까운 한 당내 인사조차 “상당히 합리적인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당내에서는 주 위원장이 경륜을 바탕으로 당 내홍을 수습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친윤계 한 재선 의원은 “원내대표 시절에도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는 것 없이 안정감이 있었다”고 말했다.

반면 비대위를 통한 전면적 혁신을 주장하는 쪽에선 주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한 3선 의원은 “국민들이 보기에 주 위원장은 쇄신 카드라 여기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