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프락치 활동’ 증언 줄잇는 김순호 경찰국장 자격 없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프락치 활동’ 증언 줄잇는 김순호 경찰국장 자격 없다

입력 2022.08.10 20:44

김순호 초대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치안감)이 1983년 학생운동을 하다 강제징집된 후 국군보안사령부(현 군사안보지원사령부)에 모교인 성균관대 서클 동향을 보고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당시 보안사가 주도한 ‘녹화공작’ 활동을 전역 후까지 이어갔고, 이 내역과 그의 이름·대학·소속부대가 명기된 ‘존안자료’(국정원 대외비 인사파일)가 국가기록원에 있다고 한다. 김 국장은 1988년부터 노동운동단체 ‘인천부천노동자회’(인노회) 부천지역 책임자로 활동하다 1989년 4월 돌연 잠적했고, 경찰의 인노회 수사가 이어진 뒤 그해 8월 경장 직급으로 특별채용됐다. 그 후 경사·경위로 5년 만에 승진하며 승승장구했지만, 첫 경찰국장 임명 후 과거 학생·노동운동을 밀고한 ‘프락치’ 시비가 제기된 것이다.

김 국장은 이 정황을 보도한 경향신문 등에 “인노회 활동을 자백하러 갔을 뿐”이라며 프락치 얘기는 ‘소설’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나 이를 반박하고 바로잡는 구체적 증언이 쏟아지고 있다. 인노회 피해자들은 지역 책임자인 그만 알 수 있던 조직표·활동가 본명이 경찰 손에 쥐어지고, 유독 김 국장 얘긴 경찰이 묻지 않던 수사 상황 등을 전했다. 당시 인노회 활동가 15명을 구속수사한 치안본부 대공3과 홍모 전 경감은 TV조선에 “그 사건 때 (김 국장에게) 많이 도움받았고, ‘내가 책임지겠다’ 하고 특채를 시켰다”고 증언했다. 홍 전 경감은 1987년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후 ‘책상을 탁하고 치니 억하고 쓰러졌다’는 거짓보고서 초안을 작성한 담당자였다. 이처럼 생생한 대공분실 시절 증언까지도 김 국장만 ‘기억 안 난다’고 뭉개고 있다.

1991년 치안본부가 경찰청으로 독립한 것은 정권보위 전위대로 고문까지 일삼던 흑역사를 끊겠다는 민주화 장정이었다. 인노회도 훗날 이적단체가 아니라고 대법원이 바로잡았다. 그 대공분실 공작에 관여한 이가 31년 만에 역사를 되돌린 경찰통제조직의 첫 수장이 된 것이다. 김 국장은 경향신문 보도에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했다. 적반하장이다. 그의 임명은 윤석열 정부 국정기조인 공정과 상식에도 맞지 않는다. 경찰행정을 이끌 자격이 없다는 뜻이다.

윤 대통령이 10일 수사 중립 의지를 문제삼아 야당이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을 거부한 윤희근 경찰청장 임명을 강행했다. 청문보고서 없이 11번째 고위공직자 임명을 밀어붙인 데 유감을 표한다. 윤 청장은 청문회에서 “(김 국장 얘기는) 행안부와 추후 협의하겠다”고 했다. 그 말의 끝을 맺어야 한다. 김 국장은 경찰 독립·민주화 역사에 부합하지 않는다. 물러나지 않으면, 14만 경찰의 명예를 걸고 경질해야 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