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기존 협력 모델 한계…공급망 안정이 최우선 과제”

반기웅 기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보고서

‘한·중 공급망 안정’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미·중 전략 경쟁 심화 등 대내외 환경 변화로 기존 협력 모델이 한계에 직면했다는 진단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24일 낸 ‘한·중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성과 및 과제’ 보고서를 보면 한·중 교역 규모는 꾸준히 늘었지만 2010년대 초반을 기점으로 한국의 대중(對中) 수출 증가율은 수입 증가율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전환됐다. 중국의 대한국 수입 의존도는 2005년(11.6%)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 7.9%까지 떨어졌고, 수출 의존도는 2000년대 이후 4%대를 이어가고 있다.

1993년부터 이어지던 대중 무역흑자는 올해 들어 적자로 전환됐다. 대중 무역수지는 지난 5월부터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적자였다. 한국의 대중 직접투자는 1992년 수교 당시 1억4000만달러에서 2021년 66억8000만달러로 약 48.5배 늘어난 반면 중국의 대한국 투자액(도착금액)은 2015년 17억7000만달러로 최대치를 기록한 뒤 2021년에는 4774만달러로 축소됐다.

대외연은 “첨단 제조 분야에서 중국의 대한국 투자 유치를 확대하여 한·중 공급망 안정을 도모하는 한편, 생산 네트워크를 넘어 혁신 생태계 구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Today`s HOT
산불 피해 학생들, 타 학교로 이동하다. 모잠비크 다니엘 샤푸 대통령 취임식 네팔의 전통적인 브라타반다 성인식 이스라엘-가자 휴전 협상과 인질 석방 촉구 시위
새해 맞이 번영 기원, 불가리아 수바 의식 산불 진압, 복구에 노력하는 소방 대원들
일본 경제의 활성화, 관광객들의 신사 유적지 방문 콜롬비아의 높은 섬유 수요, 공장에서 바쁘게 일하는 직원들
놀란 마을 주민들, 멜버른에서 일어난 주택 붕괴.. 태국의 심각한 미세먼지.. 대기 오염을 초래하다. 악천후 속 준비하는 스페이스X 스타십 로켓 발사 암 치료 받은 케이트 공주, 병원에서 환자들과 소통하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