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맞불집회 시간·장소 분리 유도’ 권고에도 경찰 손 놔
반일행동 “테러 자행에 제지 않아”…서울경찰청장 고소 예정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매주 수요일 열리는 ‘수요시위’를 둘러싸고 주최 측과 극우단체들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갈등의 수위는 높아지고 있지만 경찰의 방관으로 위안부 피해자들을 향한 혐오발언이 여과 없이 울려 퍼지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시민단체 반일행동은 14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은 테러를 자행한 극우단체를 제지하지 않고 반일행동 회원을 공무집행을 방해하고 경찰을 폭행한 폭도로 몰아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일행동은 또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의 해임을 촉구하며 김 청장을 고소·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극우단체 신자유연대는 지난 11일 오후 10시쯤 소녀상 근처에서 정의기억연대(정의연) 해체와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 단체는 집회 도중 소녀상을 지키고 있던 반일행동 회원들과 실랑이를 벌였고, 4시간가량 물리적 충돌이 빚어졌다. 경찰은 두 단체 모두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 위반 혐의가 있다고 보고 조사하고 있다.
정의연과 수요시위 연대 단체들은 경찰이 현장에서 별다른 개입을 하지 않아 위안부 피해자 등을 향한 극우단체의 혐오발언이 계속되고 있다고 비판한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1월 서울 종로경찰서장에게 긴급구제를 권고하며 ‘공권력이 수요시위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맞불집회 주최 측에 집회 시간과 장소를 달리하도록 적극 권유할 것을 경찰에 권고했다. 또 지나친 소음으로 수요시위를 방해하는 행위나 위안부 피해자 등 참가자들에 대한 모욕·명예훼손 행위를 하지 않도록 현장에서 경고하라고 했다.
그러나 경찰은 집회 현장에서 경고 방송이나 폴리스라인 설치 등 최소한의 조처만 하고 있다는 게 수요시위 주최 측 주장이다. 이은영 평화나비네트워크 활동가는 “인권위의 권고 이후에도 보수단체의 맞불집회는 이어지고 있다”며 “(경찰은) 여전히 한 달에 한두 번 반대 단체의 소음이 클 때에만 제지하는 정도”라고 말했다.
극우단체의 ‘맞불집회’는 이날도 계속됐다. 수요시위 참가자 30여명이 ‘일본의 전쟁범죄 인정과 법적 배상 및 공식 사죄’ ‘역사부정 세력의 역사왜곡, 혐오발언 중단’ 등을 촉구하자, 맞은편에 있던 극우단체들은 “좌파 세력 척결” “위안부 사기” 등의 구호를 외쳤다.
단체들 간 물리적 충돌은 없었지만, 수요시위 측의 발언이 나올 때 극우단체 쪽에서 더 큰 소음을 내기도 했다.
이들은 2020년 5월 윤미향 무소속 의원의 후원금 유용 의혹이 불거지자 소녀상 인근에서 집회를 ‘선 신고’한 뒤 맞불집회를 열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