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제77차 유엔총회 일반토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세계 각국 정상들이 20일(현지시간) 제77차 유엔총회 일반토의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면서 전쟁 중단과 외교를 통한 평화적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총회 일반토의에서 “우리가 2월24일(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작일)부터 목격한 것은 제국주의와 식민 시대의 복귀”라며 “프랑스는 이를 거부하며 평화를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러시아가 패권국이 아니라면 누가 패권국이겠는가”라고 묻고 “이러한 신제국주의에 침묵하거나 비밀리에 공모하는 이들이 보여주는 냉소는 평화에 불가결한 세계 질서를 파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여러 차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대화하며 외교적 해법을 모색해온 그는 “오직 함께할 때만 평화를 찾을 수 있으므로 대화를 계속할 것”이라 강조했다.
마찬가지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자처해온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터키) 대통령도 이날 일반토의 연설에서 외교적 해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전쟁에는 결코 승자가 없고, 공정한 평화 절차에는 결코 패자가 없을 것”이라면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이 위기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품위 있는 길을 제시하기 위해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외교적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유엔 정상외교 무대에 데뷔한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날 국제사회는 힘에 의한 현상 변경과 핵무기를 비롯한 대량살상무기, 인권의 집단적 유린으로 또다시 세계 시민의 자유와 평화가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나라 이름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러시아와 중국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 국제 많이 본 기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식량·에너지 위기를 경고하고 나섰다. 그는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전 세계적인 비료 부족이 곧 식량 부족으로 번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핵 무력 과시와 원전 안전에 대한 위협이 전 세계적인 불안을 가중하고 있다”며 러시아를 간접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반면 제3세계 국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중립적인 태도를 보였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은 “일방적이고 선별적인 제재가 분쟁 해결을 위한 제일 나은 방법이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힌 셈이다. 아프리카연합(AU) 의장인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도 아프리카 대륙 지도자들이 한쪽을 선택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며 아프리카는 신냉전의 온상이 되길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