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김정은, 트럼프에 “문 대통령 아닌 각하와 직접 만나 비핵화 논의 희망”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김정은, 트럼프에 “문 대통령 아닌 각하와 직접 만나 비핵화 논의 희망”

2018~2019년 양국 친서 27통 공개…‘한·미 훈련’ 강한 반발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2019년 당시 한반도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이 아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직접 논의하길 바랐던 것으로 확인됐다.

전·현직 주미 특파원들 모임인 한미클럽은 ‘한미저널 10호’에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 간 친서 전문을 25일 공개했다. 친서는 2018년 4월1일부터 2019년 8월5일까지 두 정상 간 교환된 27통이다. 당시는 남북, 북·미, 남·북·미 정상이 잇따라 만나 한반도 대화 분위기가 무르익었던 시기다.

김 위원장은 비핵화 논의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를 최우선 순위에 뒀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 위원장은 2018년 9월21일자 친서에서 “저는 향후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아니라, 각하와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논의하길 희망하며, 문재인 대통령이 우리 문제에 대해 표출하는 과도한 관심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9·19 평양공동선언’ 이틀 뒤 트럼프 대통령에게 속내를 드러낸 것이다.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담판을 통한 ‘톱다운 방식(하향식)’ 문제 해결을 추구했다. 김 위원장은 2018년 9월6일자 친서에서 폼페이오 당시 미 국무장관의 평양 방문 취소에 양해를 구하며 “저로서는 각하를 직접 만나 비핵화를 포함한 중요 현안들에 관해 심층적으로 의견을 교환함이 더 건설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사흘 뒤인 2018년 6월15일자 친서에서 “북한과 위원장님에 대한 보도들은 환상적이었다”며 “저는 우리가 얼마나 잘 어울렸고 서로 호감을 가졌는지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노딜’로 끝난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한 달 뒤인 2019년 3월22일자 친서에서 “위원장님과 저는 엄청난 진전을 이루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남·북·미 정상회담 사흘 뒤인 2019년 7월2일자 친서에선 “위원장님의 나라로 넘나들고 우리의 중요한 논의를 재개할 수 있어 영광이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한·미 연합군사훈련에 강하게 반발했다. 2019년 8월5일자 친서에서 “연합군사훈련 공격 대상이 누구입니까”라고 항의했다. 이어 “저는 분명히 기분이 상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저는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그 이상을 했다”며 “하지만 각하께서 해주신 것은 무엇이며, 우리가 만난 이후 무엇이 바뀌었는지 인민들에게 어떻게 설명해야 합니까”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문제 삼아 대화의 문을 닫았다. 김 위원장은 “한국과의 ‘군사 게임’과 ‘전쟁 연습’이 끝났을 때 다시 연락을 주기 바란다. 그때 실무급 대화의 시간과 장소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도대체 어떠한 종류의 실무급 대화가 가능하겠나. 제가 간절히 원했던 제재 완화 문제도, 4차 정상회담 장소에 대한 것도 아닐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이 관철시키려 한 과제가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과 대북 제재 완화였음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