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식민사관 옹호했나”…‘이배용 위원장 청문회’ 된 국교위 국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식민사관 옹호했나”…‘이배용 위원장 청문회’ 된 국교위 국감

입력 2022.10.17 21:22

국정교과서 편찬 참여 전력 등 역사인식 두고 집중 질의 받아

윤 대통령 지명 위원 2명의 ‘국교위 역할 부정’ 발언에도 비판

“식민사관 옹호했나”…‘이배용 위원장 청문회’ 된 국교위 국감

17일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 국정감사는 이배용 국교위 위원장(사진)을 포함한 국가교육위원들의 ‘인사청문회’가 됐다. 이 위원장은 한국사 국정교과서 편찬에 참여한 전력 등 역사인식을 두고 집중 질의를 받았고, 윤석열 대통령이 지명한 위원 2명이 과거 발언에서 국교위의 역할을 전면 부정한 사실도 부각됐다.

이 위원장은 이날 박근혜 정부 시절 한국학중앙연구원장으로 재임하며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선 데 대해 “당시에는 필요했다고 생각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신념을 접은 것으로 이해하면 되느냐”는 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네”라고 답했다.

역사학자인 이 위원장을 향해 ‘친일독재’와 ‘식민사관’을 옹호한 것 아니냐는 민주당 의원들의 문제 제기도 이어졌다. 문정복 민주당 의원이 “근대화에 실패한 것은 준비 없이 근대화의 흐름에 따라 밀려왔기 때문”이라는 이 위원장의 과거 발언을 들며 “전형적인 친일 식민사관”이라고 공격했으나 이 위원장은 “나는 일제가 침탈했다고 보는 ‘수탈론자’다. 식민사관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권은희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일본은 조선왕조와 전쟁을 한 적이 없다’ 등의 내용으로 논란이 불거진 데 대해 이 위원장의 견해를 물었다. 이 위원장이 “이 자리에선 답변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답을 되풀이하자 권 의원은 동학농민운동과 항일의병운동을 언급하며 “두 역사적 사실에 비춰봤을 때 일본이 조선왕조와 전쟁을 한 적 없다는 게 맞는가”라고 다시 물었다. 이 위원장은 “역사학자로 이 자리에 앉은 것이 아니다”라고만 답했다.

국교위 위원 구성을 두고도 비판이 이어졌다. 특히 윤 대통령이 지명한 김정호 위원(전 자유기업원장)과 천세영 위원(전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의 자질이 도마에 올랐다. 두 위원은 국회 교육위가 국감을 위해 요청한 경력 사항 제출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종환 민주당 의원이 이날 국감 현장에서 공개한 보수성향 개인방송채널 영상을 보면 김 위원은 출연자로 나와 “교육에서 사회적 합의 같은 것 보지 마라. 왜 사회가 아이를 가르치려 하느냐”고 발언했다.

천 위원이 국교위 위원으로 지명된 후에도 교육업체 이사직을 유지한 것이 ‘이해충돌’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도 의원은 “천 위원이 해당 직위에서 사퇴했다고 해놓고 SNS에서 그 업체를 홍보하고 있는데 겸직금지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천 위원 역시 과거 방송 출연 영상에서 “국가교육위원회라는 초정권적인 얼토당토않은 이야기가 나온다”고 발언해 사회적 합의기구인 국교위에 부정적인 견해를 편 것으로 드러났다. 이 위원장은 “영상을 처음 봤는데, 어떤 경위에서 나왔는지 알아보겠다”고 답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