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 수험생 증가 대비 수능 별도 시험장 확대··· 수능 문답지 전국 배부 시작

김태훈 기자
지난해 11월18일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서울 용산구 용산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코로나19 방역 절차를 거친 뒤 시험장에 입실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지난해 11월18일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서울 용산구 용산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코로나19 방역 절차를 거친 뒤 시험장에 입실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코로나19 7차 유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교육부도 오는 17일 치러질 수학능력평가시험(수능) 대책을 마련했다. 우선 확진 판정을 받은 응시자들이 들어갈 시험장의 수용인원을 3배 더 늘리기로 했다.

교육부는 14일 발표한 ‘코로나19 관련 2023학년도 수능 준비상황 및 수험생 안내사항’에서 코로나19 겨울철 재유행으로 확진 수험생이 늘어나는 상황에 대비해 별도 시험장의 수용인원을 1만2884명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진 등으로 격리대상인 수험생은 전국 108개 시험장(680실)에서 응시할 계획이었으나 여기에 2개 시험장이 추가 지정돼 110개 시험장(827실)으로 늘었다.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입원 중인 수험생이 응시하는 병원 시험장도 24개 시험장(93개 병상)에서 25개 시험장(108개 병상)으로 늘렸다.

애초 계획된 별도 시험장 수용인원이 4683명에서 1만2884명으로 3배 가까이 늘면서 별도 시험장의 실당 수용 가능 인원은 평균 6.9명에서 15.6명으로 늘어난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확진자 수보다 수용인원 규모가 크기 때문에 시험실당 평균 인원은 6~8명으로 일단 유지할 예정”이라며 “만일 예상보다 확진자가 초과하는 경우 실별로 수용인원을 늘려 수험생을 넣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달 11일 이후 확진 판정을 받은 수험생은 별도 시험장에서 수능에 응시해야 하므로 확진 사실을 즉시 관할 교육청에 알려야 한다. 교육부는 확진 여부를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판단할 수 있게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것을 권고했다. 또 교육부는 확진 수험생이 교육청에 신고하지 못할 때도 발생 상황을 즉각 파악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진단검사를 하는 보건소 선별진료소와 병·의원에 협조를 요청했다.

수능 문제지와 답안지는 14~16일 전국 시험지구에 차례대로 배부된다. 문제지와 답안지를 실은 운송 차량은 경찰의 경호를 받아 각 시험지구까지 이동한다. 시험지구별 인수 책임자 등 관계 직원과 중앙협력관 등이 운송 과정을 관리·감독한다. 시험지구로 옮겨진 문제지와 답안지는 16일까지 별도의 장소에 보관되다가 수능 당일인 17일 오전에 각 시험장으로 운반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운전자가 도로에서 문답지 운송 차량을 만나는 경우, 안전하고 원활한 문답지 수송을 위한 경찰의 지시 및 유도에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Today`s HOT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아름다운 선행, 구조 대원들에 의해 살아난 동물들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시드니 풋볼 월드컵 예선을 준비하는 호주 선수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