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한미 실무그룹회의 개최····암호화폐 탈취 등 핵, 미사일 개발 자금 차단 방안 논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한미 실무그룹회의 개최····암호화폐 탈취 등 핵, 미사일 개발 자금 차단 방안 논의

입력 2022.11.16 21:13

16일 서울에서 열린 제2차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한미 실무그룹 회의에서 양측 수석대표인 이태우 북핵외교기획단장(오른쪽)과 정 박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16일 서울에서 열린 제2차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한미 실무그룹 회의에서 양측 수석대표인 이태우 북핵외교기획단장(오른쪽)과 정 박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한·미가 16일 서울에서 북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실무그룹 회의를 열고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이날 이태우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과 정 박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를 비롯해 북핵 문제와 사이버·가상자산 분야를 담당하는 양국의 외교·안보·사법·정보 당국 관계자 60여명이 참석하는 ‘제2차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한·미 실무 그룹 회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양국은 이날 회의에서 해외에 파견된 북한의 정보기술(IT) 노동자들이 외국 기업으로부터 일감을 수주해 외화를 벌어들이고 이 자금이 핵·미사일 개발에 활용되는 상황을 공유했다. 또 이 같은 불법 사이버 활동을 통해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 자금을 확보하려는 시도를 차단하기 위해 북한 IT 노동자들이 활동 중인 국가들의 주의를 환기하기로 했다.

양국은 또 관련 업계,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북한 IT 노동자의 외화벌이 활동이 핵·미사일 개발 자금 수단이 되지 않도록 다양한 대응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암호화폐 탈취 등 날로 다양화하는 북한 불법 사이버 활동의 구체적 사례와 수법을 공유하고, 사이버 분야에서의 대북 제재 등 정책 공조 방안도 협의했다. 양국은 이날 회의에서 북한의 자금 세탁을 지원하는 조력자에 대한 정보도 공유했다.

이번 실무 회의는 지난 8월에 열린 1차 회의에 이어 세 달 만에 열린 것이다. 양국은 향후 적절한 시점에 3차 회의를 개최하여 관련 논의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