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수원 세 모녀’ 비극 또 없게··· 위기가구 소재지·연락처 파악해 지원 늘린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수원 세 모녀’ 비극 또 없게··· 위기가구 소재지·연락처 파악해 지원 늘린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복지 사각지대 발굴·지원체계 개선 대책’에 관해 브리핑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제공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복지 사각지대 발굴·지원체계 개선 대책’에 관해 브리핑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제공

정부가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위기가구를 빠르게 찾기 위해 질병·채무·실업 등 위기정보 입수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지난 8월 발생한 ‘수원 세 모녀 사건’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소재지 파악과 연락처 연계도 강화한다.

24일 보건복지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복지 사각지대 발굴·지원체계 개선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위기가구를 찾아내기 위한 정보를 기존 34종에서 44종으로 늘리고, 사망이 의심되는 등 위급한 경우엔 소방·경찰의 협조를 받아 강제로 주택 문을 여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014년 ‘송파 세 모녀 사건’ 이후 현행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을 꾸려 운영해왔지만, 지난 8월 생활고에 시달리면서도 지원을 받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수원 세 모녀 사건이 또 일어났다.

정부는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그동안 수집해온 단전, 단수, 건강보험료 체납 등 34종의 정보에 이번 달부터 중증질환 산정특례, 장기요양 등급, 주민등록 세대원 등 5개 정보를 추가하기로 했다. 내년 하반기엔 재난적 의료비 지원대상, 채무조정 중지자, 고용단절이나 실업 같은 고용위기 정보 등을 더해 총 44종의 정보를 활용할 방침이다. 이 중 채무정보는 최근 2년간 계좌별 연체금액 100만~1000만원이었던 기준을 100만~2000만원 이하로 확대한다. 수원 세 모녀도 연체 금액이 1000만원을 넘어 복지 사각 발굴 체계에 잡히지 않았다. ‘생계형 채무’를 선별하기 위해 잡은 기준이 발목을 잡은 셈이다.

또 위기가구 여부 판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대상자 선정 모형도 세대 단위나 생애주기별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한다. 그간 개인 단위로 정보를 활용할 때는 세대원 각자에게서 위기 징후가 나타나도 종합적으로 볼 수 없던 한계를 개선해 한 세대 안에 위기정보가 얼마나 확인되는지 검토하자는 취지다. 위기정보를 입수하는 주기도 기존 두 달에서 한 달로 바꿀 예정이다.

‘수원 세 모녀’ 비극 또 없게··· 위기가구 소재지·연락처 파악해 지원 늘린다

위기가구를 찾은 후에도 신속하게 실제 소재지와 연락처를 알아내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행정안전부와 통신사 등이 보유한 위기가구원들의 연락처와 상세한 주택 동·호수 정보를 연계할 수 있도록 사회보장급여법과 시행령 개정을 추진한다. 세대주가 아닌 세대원의 연락처도 입수할 수 있도록 전입신고 서식도 개정할 계획이다. 또 지난해 4차 조사 이후 연락이 닿지 않은 1만7429명 등 연락두절·빈집 가구에는 올해부터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실시할 때 현장조사를 병행하기로 했다. 지자체가 위기가구를 찾는 과정에서 사망이 의심되면 구조·구급을 위해 경찰·소방의 협조를 받아 강제로 문을 열 수 있도록 관련 지침도 마련한다.

위기를 겪고 있는 가구엔 적절한 생계지원을 받을 수 있게 기초생활보장의 보장성 강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정부는 내년 기준 중위소득을 4인가구 기준 5.47%로 인상하고, 생계급여 선정기준이 기준중위소득 35%에 이를 때까지 차츰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몰라서 복지서비스 지원을 신청하지 못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 전 국민 대상으로 ‘복지멤버십’ 가입을 추진해 생애주기별 사회보장 급여를 안내하고 이용을 도울 계획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현재 두 달마다 약 450가구의 위기정보를 수집해 지자체에 17만~18만가구의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데 위기정보 종류의 확대로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며 “현장의 의료·사회복지사와 ‘복지 등기우편’ 시범사업중인 집배원들의 정보 수집 등으로 지원 대상자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