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동치미를 담그며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동치미를 담그며

[김해자의 작은 이야기] 동치미를 담그며

한 달여 비워둔 집

엉거주춤 남의 집인 양 들어서는데 마실 다녀오던

아랫집 어머니가 당신 집처럼 마당으로 성큼 들어와

꼬옥 안아주신다 괜찮을 거라고

아파서 먼 길 다녀온 걸 어찌 아시고 걱정마라고,

우덜이 다 뽑아 김치 담았다고 얼까 봐

남은 무는 항아리 속에 넣었다고

가리키는 손길 따라 평상을 살펴보니, 알타리 김치통 옆에 늙은 호박들 펑퍼짐하게 서로 기대어 앉아있고, 항아리 속엔 희푸른 무가 가득, 키 낮은 줄엔 무청이 나란히 매달려 있다. 삐이이 짹짹, 참새떼가 몇 번 나뭇가지 옮겨 앉는 사이, 앞집 어머니와 옆집 어머니도 기웃하더니 우리 집 마당이 금세 방앗간이 되었다. 둥근 스뎅 그릇 속 하얗고 푸른 동치미와 살얼음 든 연시와 아랫집 메주가 같이 숨 쉬는 평상, 이웃들 손길 닿은 자리마다 흥성스러운 지금은, 입동 지나 소설로 가는 길목

나 이곳 떠나 다른 세상 도착할 때도

지금은 잊어버린,

먹고사느라 잊고 사는,

옛날 내 이웃들 맨발로 뛰쳐나와

아고 내 새끼 할 것 같다 울엄마처럼 덥석 안고

고생 많았다 머나먼 길 댕겨오니라,

토닥토닥 등 두드려 줄 것 같다

참새떼처럼 명랑하게 맞아줄 것 같다

- 시 ‘이웃들’ 김해자, 시집 <해피랜드>

김해자 시인

김해자 시인

친구들이 동치미 담으러 온다는 약속을 하고부터 마음이 자꾸 밭으로 갔다. 옥수수와 고구마 캐고 난 밭에 알타리와 무씨를 심었는데, 아무래도 며칠 늦은 것 같다. 중간중간 솎아 먹어도 되니 촘촘히 심으라는 이웃 고수의 말을 따랐는데, 몇 번 솎아냈는데도 여전히 무 사이가 가까운 듯했다. 1박2일 동안 언제 뽑아서 씻어서 소금에 굴려 동치미를 담겠나 싶어, 우선 큰 무만 뽑기 시작했다. 며칠 물 더 빨아먹고 햇볕 쪼이면 장딴지만 해질 텐데…. 머릿속 계산과 달리 손은 과감했다.

무씨를 땅에 묻고 가물 때 물 몇 번 준 일밖에 없는데 그새 이리 자라다니…, 대견하고 고마웠다. 무를 옮겨다 수돗가에서 씻어서 채반에 두니 자꾸만 바라봐졌다. 연둣빛이라고도 말할 수 없는 무청이 달린 머리 쪽도 이쁘고, 잔뿌리 몇 달린 하얀 부분도 백옥 같다. 정갈하고 작은 무들이 서로 포개고 누운 모습을 보니, 어릴 때 밖에서 놀다 오면, 먼지 뒤집어쓰고 온 내 귀 잡고 얼굴 뿌득뿌득 문지르던 엄마 생각이 난다. “자 코 흥” 하면 나도 “흥” 하며 코를 풀었다. 수건으로 닦아주고 나서 “깎은 밤 같네” “씻은 무 같네” 하던 웃음 섞인 말과 함께.

무가 제아무리 예뻐도 동치미는 담가야 한다. 소금에 굴리고 쪽파와 갓을 다듬어서 친구들 숫자만큼 4통의 동치미를 끝낸 지 이틀 후, 이웃 언니가 큰 무 20개와 속이 꽉 찬 배추 10포기를 주었다. 우리 무 100개보다 무거웠다. 이번엔 ‘배추 무 동치미’를 담기로 했다. 무 5개 깔고, 절인 배추 올리고, 사이에 갓과 파 넣고 다시 무 올리고 배추겉잎으로 덮었다. 삭힌 고추와 말린 고추와 대추 올리고, 소금물 붓고, 백김치처럼 담았다. 마늘 생강 청각 넣은 베보자기를 여며서 항아리 앞으로 막 가는데, 아랫집 언니한테서 전화가 왔다. “무 가져가라”고. “무 몇 개 신문에 싸놨다 겨울 내 먹으라고” 주고 싶은 마음으로 챙겨놨는데 무 많다고, 허리 좀 아프다고 거절할 수는 없었다. 이웃들 덕에 3차는 정통 무 동치미가 되었다. 아주 큰 무는 바람 안 들어가게 신문지에 싸고 재활용 용도로 씻어놓은 비닐에 하나씩 넣어 박스에 보관했다. 이웃들 덕에 팔다리 허리는 고생했지만 올 동치미는 풍년이다. 그중 5분의 4는 ‘공생’이라는 협동조합을 운영하며, 반찬 만들어 후배들 밥 먹이고 도시락 싸주는, 동지이자 언니이자 친구인 이미혜에게 줄 생각이다. 무는 무(無), 내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무는 무우(無憂)이기도 하다. 걱정 좀 덜 하고 오늘 하루 잘 살라는 기원을 담아, 이웃들이 나를 통해 전해주는 선물일지도 모르겠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