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달~ 누구 땅?…‘깃발’ 빨리 꽂는 사람이 임자일까

이정호 기자
미래에 구축될 달 상주기지 상상도.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태양 전지판과 작물을 재배하는 온실이 갖춰져 있다. 이런 기지의 궁극적인 운영 목적은 달 자원 채굴이다. 유엔에서 제정한 ‘달 조약’은 달 자원을 인류 공동 유산으로 보고 있다. 유럽우주국(ESA) 제공

미래에 구축될 달 상주기지 상상도.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태양 전지판과 작물을 재배하는 온실이 갖춰져 있다. 이런 기지의 궁극적인 운영 목적은 달 자원 채굴이다. 유엔에서 제정한 ‘달 조약’은 달 자원을 인류 공동 유산으로 보고 있다. 유럽우주국(ESA) 제공

호프, 달 땅 팔아 백억원대 벌어

자원 각축전 영향 소유권 화두로
유엔 ‘공동소유’ 조약 만들었지만
정작 미국 등 우주개발국은 빠져

1980년대 미국인 데니스 호프는 매우 독특한 사업 아이디어를 생각해 낸다. 달의 토지를 팔겠다는 것이었다. 달이 한 개인의 소유일 리 만무하지만 예상외로 이런 주장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방법원에서 인정을 받았다. 호프는 달을 국가가 소유할 수 없도록 한 국제 규정을 파고들었다. 국가가 아닌 ‘개인’이 나서서 최초로 소유권을 주장하는 일은 막을 수 없다고 본 것이고, 예상은 적중했다.

그는 1에이커(4046㎡)당 20달러(약 2만6000원)에 달의 땅을 팔았다. 흥미로운 건 이렇게 해서 그가 번 돈이 약 100억원이라는 점이다. 호프의 주장을 믿든 안 믿든 자신의 지갑을 기꺼이 연 사람들이 많았다는 얘기다.

최근 들어 달이 누구 것이냐는 물음은 점점 진지해지고 있다. 달에서 세계 각국이 자원을 캐려고 각축전을 벌일 태세이기 때문이다.

우주를 대상으로 한 국제 조약 가운데 최근 각국의 달 자원 쟁탈전과 가장 연관이 깊은 건 1979년 유엔에서 만들어진 ‘달 조약’이다.

달 조약을 보면 달의 자원은 ‘인류 공동 유산’이다. 특정 국가가 당장 마음대로 달에서 자원을 캐내서 내다 팔 수 없도록 해 놓았다. 조약은 달에서 자원 개발이 가능해질 때 이와 관련한 제도적인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그런데 달 조약을 비준한 국가에 미국과 같은 주요 우주 개발국은 정작 없다. 문제는 여기서 시작한다. 달 조약에 가입해 있지 않은 국가가 달 자원을 개발할 의지와 기술이 있다면 달 조약이 원래 목적대로 굴러가긴 어렵다.

김한택 강원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우주법 전문)는 “아르테미스 약정으로 인해 달 조약이 무너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학계에선 달에 묻힌 자원을 더 가지려는 국가들 사이에서 무력 다툼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달이 신냉전이 열전으로 번지는 장이 될 수 있다는 우려다.


Today`s HOT
태국의 심각한 미세먼지.. 대기 오염을 초래하다. 놀란 마을 주민들, 멜버른에서 일어난 주택 붕괴.. 일본 경제의 활성화, 관광객들의 신사 유적지 방문 새해 맞이 번영 기원, 불가리아 수바 의식
전쟁으로 얼룩진 이스라엘 군인의 장례식.. 브뤼셀에서 열린 근로 조건 개선 시위
독일 연방의회 선거 앞둔 후보자들의 활동 차별 종식, 인도에서 열린 트랜스젠더들의 집회
에티오피아의 지진.. 주민들의 대피 주님의 축일 맞이 아기 세례 강물에 입수하는 풍습, 네팔 마다브 나라얀 축제 산불로 피해 입은 캘리포니아주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