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스크’ 학교는…“선생님 말씀 잘 들려”, “놀릴까봐 마스크 안 벗어”

김나연 기자
30일 서울 광진구 광장초등학교 교실에서 한 학생이 마스크 벗을 사람을 묻는 교사의 질문에 손을 들어 답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30일 서울 광진구 광장초등학교 교실에서 한 학생이 마스크 벗을 사람을 묻는 교사의 질문에 손을 들어 답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니까) 마스크 없이 학교에 다녔던 기억이 나요. 그때는 안 불편했는데….”

30일 서울 광진구 광장초등학교 등교 시간. 코로나19에 걸린 적 없는 5학년 최현서양(12)은 아직 조심해야 한다는 부모의 말을 듣고 마스크를 쓴 채 학교에 왔다. “교실에서도 마스크를 쓸 것 같아요. 답답하고 힘들긴 한데….”

이날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권고로 전환되면서 학교 내 마스크 착용도 자율로 바뀌었다. 2020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그러나 ‘노마스크 등교’ 첫날,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학생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오전 8시40분쯤 정문 앞에 멈춰 선 통학버스에서 학생 30여명이 우르르 내렸다.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학생은 한 명도 없었다.

한 여학생은 마스크를 벗다가 주변 눈치를 살피더니 마스크 끈을 귀에 걸지 않고 마스크로 입만 가린 채 등교했다.

‘노마스크 등교’가 낯선 학생들은 갈팡질팡 중이다. 최모양(12)은 등교를 앞두고 ‘마스크 쓰자? 벗자?’라는 투표를 인스타그램에 올렸다. 최양은 등교하는 와중에도 교실에서 마스크를 벗을지 결정하지 못했다. 그는 “마스크를 벗으면 주변에서 놀릴까 봐 안 벗는 애들도 있었다”며 고민하는 표정을 지었다.

마스크 착용이 자율화되자 신이 난 학생과 학부모도 있었다. 5학년 2반 양서희양(12)은 “선생님 제지가 있지 않는 이상 마스크를 절대 안 쓸 것”이라며 “수업 시간에 선생님 말씀이 잘 안 들리거나 체육 시간에 (안경에) 김이 서려서 불편했었다”고 말했다. 3학년·5학년 자녀와 함께 등교한 최승희씨(43)는 “아이들에게 학교에서 불편하면 (마스크를) 벗어도 되고 이제 꼭 쓰진 않아도 된다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이후남 광장초 교장은 “아직은 섣불리 마스크를 벗으려고 하지 않는 분위기이고, 기대보다는 우려가 큰 상황인 것 같다”고 했다.


Today`s HOT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인한 해안 침식 모습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