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서울 광진구 광장초등학교 교실에서 한 학생이 마스크 벗을 사람을 묻는 교사의 질문에 손을 들어 답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니까) 마스크 없이 학교에 다녔던 기억이 나요. 그때는 안 불편했는데….”
30일 서울 광진구 광장초등학교 등교 시간. 코로나19에 걸린 적 없는 5학년 최현서양(12)은 아직 조심해야 한다는 부모의 말을 듣고 마스크를 쓴 채 학교에 왔다. “교실에서도 마스크를 쓸 것 같아요. 답답하고 힘들긴 한데….”
이날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권고로 전환되면서 학교 내 마스크 착용도 자율로 바뀌었다. 2020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그러나 ‘노마스크 등교’ 첫날,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학생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오전 8시40분쯤 정문 앞에 멈춰 선 통학버스에서 학생 30여명이 우르르 내렸다.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학생은 한 명도 없었다.
한 여학생은 마스크를 벗다가 주변 눈치를 살피더니 마스크 끈을 귀에 걸지 않고 마스크로 입만 가린 채 등교했다.
‘노마스크 등교’가 낯선 학생들은 갈팡질팡 중이다. 최모양(12)은 등교를 앞두고 ‘마스크 쓰자? 벗자?’라는 투표를 인스타그램에 올렸다. 최양은 등교하는 와중에도 교실에서 마스크를 벗을지 결정하지 못했다. 그는 “마스크를 벗으면 주변에서 놀릴까 봐 안 벗는 애들도 있었다”며 고민하는 표정을 지었다.
마스크 착용이 자율화되자 신이 난 학생과 학부모도 있었다. 5학년 2반 양서희양(12)은 “선생님 제지가 있지 않는 이상 마스크를 절대 안 쓸 것”이라며 “수업 시간에 선생님 말씀이 잘 안 들리거나 체육 시간에 (안경에) 김이 서려서 불편했었다”고 말했다. 3학년·5학년 자녀와 함께 등교한 최승희씨(43)는 “아이들에게 학교에서 불편하면 (마스크를) 벗어도 되고 이제 꼭 쓰진 않아도 된다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이후남 광장초 교장은 “아직은 섣불리 마스크를 벗으려고 하지 않는 분위기이고, 기대보다는 우려가 큰 상황인 것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