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김학의 불법출금 수사외압’ 이성윤, 1심서 무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김학의 불법출금 수사외압’ 이성윤, 1심서 무죄

재판부 “검찰 증거만으로 입증 어려워”

이성윤 전 중앙지검장이 지난해 12월16일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시절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을 사퇴시킬 목적으로 이른바 ‘찍어내기’ 감찰이 이뤄졌다는 의혹과 관련해 조사를 받기 위해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으로 출석하며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연합뉴스

이성윤 전 중앙지검장이 지난해 12월16일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시절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을 사퇴시킬 목적으로 이른바 ‘찍어내기’ 감찰이 이뤄졌다는 의혹과 관련해 조사를 받기 위해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으로 출석하며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연합뉴스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불법 출국금지 의혹 수사를 못하도록 외압을 행사한 혐의로 기소된 이성윤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전 서울고검장)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재판장 김옥곤)는 15일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를 받은 이 연구위원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검찰은 이 연구위원에게 징역 2년을 구형했었다.

이 연구위원은 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장으로 재직하던 2019년 6월 김 전 차관의 불법 출국금지 관련 수사를 막은 혐의를 받았다. 검찰은 김 전 차관 출국금지 사건의 위법성을 인지한 수원지검 안양지청이 수사를 개시하려 하자 이 연구위원이 외압을 가해 수사를 중단시켰다고 봤다.

하지만 재판부는 이 연구위원이 안양지청에 압력을 행사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면서도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론 피고인이 위법하고 부당한 압력을 가했다는 공소사실이 충분히 증명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또 안양지청이 이 연구위원으로부터 수사를 중단하란 말을 직접 듣지 않았고, 안양지청이 윤대진 당시 법무부 검찰국장 등으로부터 출금 상황을 전해듣고 자의적으로 수사중단을 지시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위원은 재판 직후 기자들에게 “진실을 밝혀주시고 현명한 판결을 해 주신 재판부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학의 출국금지 사건’은 윤석열 정치검찰이 일으킨 악의적인 프레임 전환 행위”라며 “윤 전 총장에 대한 행위에 맞서거나 검찰의 변화를 위해 노력했던 검사들을 정적으로 규정하고 수사와 기소를 보복수단으로 사용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