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성폭력 의혹’ 수사 위한 출국금지…탈 많은 ‘김학의 없는 김학의 사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성폭력 의혹’ 수사 위한 출국금지…탈 많은 ‘김학의 없는 김학의 사건’

‘성폭력 의혹’ 수사 위한 출국금지…탈 많은 ‘김학의 없는 김학의 사건’

지난해 무죄를 확정받은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사진)을 뒤늦게 수사하다 ‘절차 위법’ 논란에 휘말린 이규원 검사와 이성윤 법무연수원 연구위원 등이 15일 대부분 혐의에 무죄를 선고받았다. 박근혜 정부 출범 첫해인 2013년 ‘별장 성접대’ 의혹으로 시작된 김 전 차관 관련 사건은 문재인 정부 들어 불법 출국금지 의혹, 수사외압 의혹 등 파생 사건을 숱하게 양산했다. 그러나 정작 사건 본류의 당사자인 김 전 차관은 성폭력, 뇌물 등 모든 혐의를 빠져나갔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김학의 없는 김학의 사건’만 수두룩하다는 말이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재판장 김옥곤)가 이날 연달아 판단을 내린 ‘불법 출국금지’ ‘수사외압’ 의혹은 모두 김 전 차관의 성접대 의혹에서 비롯됐다. 성접대·뇌물수수 의혹은 고검장이던 김 전 차관이 2013년 법무부 차관에 임명된 직후 불거졌다. 검찰은 김 전 차관의 의혹에 대해 두 차례에 걸쳐 무혐의 처분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듬해인 2018년 대검 과거사진상조사단이 검찰의 ‘김학의 사건’ 수사 과정에 관한 조사에 착수하면서 김 전 차관의 성접대 의혹이 다시 조명됐다. 정권교체로 재수사 가능성에 압박을 느낀 김 전 차관은 2019년 3월 해외로 출국을 시도하다 인천공항에서 제지당했다.

이 과정에서 불법이 있었는지가 논란이 되자 이를 수사해야 할 상황이 됐고, 거기에서 이 수사를 윗선이 무마하려 했다는 외압 논란이 파생했다. 이 수사들이 진행되고 관련자들이 재판에 넘겨지는 동안 김 전 차관은 혐의를 말끔하게 벗었다. 법원은 이른바 ‘성접대 동영상’ 속 인물이 김 전 차관이라고 판단하면서도 10년의 공소시효가 지나 처벌할 수 없다고 했다.

김 전 차관이 사업가 최모씨로부터 금품을 받은 뇌물 혐의는 항소심에서 처음 유죄가 인정됐으나, 최씨를 사전 면담한 검찰 수사 방식이 문제가 돼 무죄로 뒤집혔다. 봐주기·늑장 수사 등 검찰의 잘못된 관행이 김 전 차관에게 면죄부를 준 셈이다.

김학의 ‘파생’ 사건 피의자들이 재판에 넘겨지는 과정에서 검찰 내부 갈등이 첨예해졌다. 이성윤 연구위원은 기소되기 전 ‘표적 수사’ 의혹을 제기하며 검찰 수사심의위원회 소집을 요청했다. “수사팀이 성급하게 기소 결론에 도달하지 않았는지 염려된다”는 이유였다.

이 연구위원은 이날 선고 직후 “이 사건은 도저히 기소될 수 없는 사안이었다”고 했다.

수원지검 수사팀은 이날 1심 판결을 두고 “증거관계와 법리에 비춰 전반적으로 수긍할 수 없다”며 항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