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불국토로 가는 길목인 ‘구품연지’ 복원 외면…박정희 정권의 어이없는 문화정책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불국토로 가는 길목인 ‘구품연지’ 복원 외면…박정희 정권의 어이없는 문화정책

  • 김형진 셀수스협동조합원

(59) 불국사

1968년, 2021년 불국사. 셀수스협동조합 제공

1968년, 2021년 불국사. 셀수스협동조합 제공

1968년에 불국사로 수학여행을 왔던 고등학생들이 오랜 세월이 지난 후, 다시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불국사의 과거와 현재 사진을 비교하며 ‘숨은 그림 찾기’ 투어를 시작하겠습니다.

1968년 사진, 왼쪽 동그라미에는 다보탑, 석가탑이 보이지만 2021년 동일한 위치에서 찍은 사진에는 탑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불국사를 복원할 때 제작된 ‘회랑’이 시야를 가렸기 때문입니다. ‘회랑’은 2021년 사진 동그라미에 보이는 ‘지붕이 있는 복도’입니다.

1968년 사진, 오른쪽 동그라미에 부처님의 나라로 들어간다는 다리가 보입니다. 이 다리의 이름은 청운교와 백운교입니다. 반세기 전, 수학여행 와서 이 다리 계단을 밟고 올라갔다고요? 그러면 계단마다 난간이 없어 낙상의 위험 기억하세요? 지금은 돌난간이 끼워져 있습니다.

다음은 불국사에 숨겨져 있는 천년의 보물은 무엇일까요? 난도가 높아 힌트 나갑니다. 그 힌트는 1968년 사진의 현판, 범영루에 있습니다.

‘범영루(泛影樓)’는물(연못)에 누각이 비쳐서 붙여진 이름인데 두 장의 사진에 연못은커녕 물의 흔적조차 없으니 이게 어찌된 일일까요?

신라시대 때, 불국사를 창건하면서 토함산 골짜기 물을 끌어들여 연못을 만들었습니다. 그 연못의 이름은 ‘구품연지’입니다. 천년의 보물은 ‘구품연지’입니다. 범영루가 연못 물 위에 떠 있는 것처럼 비쳤던 것이지요. 구품연지 터는 수학여행 학생들이 집결하는 장소, 백운교 앞마당입니다.

그런데 왜 구품연지는 숨겨졌을까요?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구품연지의 흔적을 메워버렸고 1973년, 박정희 정권이 연못의 위치를 확인했지만 복원공사를 하지 않았습니다. 수학여행, 신혼여행 등 밀려드는 관광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백운교 앞마당밖에 없어서 구품연지를 발굴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들 동선에 방해된다는 겁니다. 그래서 불교를 상징하는 연꽃 가득한 구품연지가 사라졌습니다.

불교 경전에서 부처님의 나라(불국)로 가려면 “물을 건너고 구름 위를 지나가야 한다”고 합니다.

물이 ‘구품연지’고 구름이 청운교(푸른 구름), 백운교(흰 구름)인데 경전의 부처님 말씀을 공염불로 만들어버린 박정희 정권의 어이없는 문화정책입니다.

*이 칼럼에 게재된 사진은 셀수스협동조합 사이트(www.celsus.org)에서 다운로드해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해도 됩니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