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단독]‘이준석 체제’ 대변인들, ‘김기현호’와 불편한 동거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단독]‘이준석 체제’ 대변인들, ‘김기현호’와 불편한 동거

토론배틀로 선출된 4명 ‘임기 1년’

4월까지 직함만 유지 ‘식물 대변인’

신임 대변인단에서 논평·언론 대응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가 3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전당대회 등 현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며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가 3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전당대회 등 현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며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시절 ‘나는 국대다’ 토론배틀로 임명된 대변인단이 김기현 당대표 선출 후에도 한 달동안 불편한 동거를 이어간다. 임기가 끝나는 4월까지 직함은 유지하지만 대변인단이 정보를 공유하는 단체 대화방에도 초대되지 않는 등 식물 상태로 임기를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정권 출범 후 1년도 안 돼 ‘당대표 축출→비상대책위원회 출범→전당대회’를 겪은 여당의 혼란상을 보여주는 한 단면으로 평가된다.

15일 경향신문 취재 결과 이 대표 때 토론배틀로 선출된 문성호 국민의힘 대변인, 신주호·이유동·임형빈 부대변인은 김 대표 지도부 출범 후에도 자리를 지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 리더십 교체 후에도 지난 지도부의 대변인단이 유지되는 것은 이례적이다. 이는 이 전 대표가 지난해 4월 이들을 뽑으면서 임기를 1년으로 정했기 때문이다. 이 전 대표의 원래 임기는 올해 6월까지였다. 이 전 대표가 당원권 정지 징계를 받고 당 비대위가 출범한 후에도 이들의 지위는 유지됐다.

김예령 신임 대변인은 통화에서 “보통은 전당대회가 끝나면 (전 지도부 대변인 임기도) 바로 끝난다”면서 “(하지만) 이번에는 임기를 정해뒀더라. 그 임기는 존중돼야 하지 않을까”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 본인이 2020년 김종인 비대위 체제 국민의힘 대변인으로 발탁됐다가 이 전 대표 당선 후 교체된 당사자다. 김 대변인은 “‘나는 국대다’ 출신 대변인은 당의 자산”이라며 “(이들의) 임기가 보장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나는 국대다’ 출신 대변인단은 이 전 대표 재임 시기 논평 및 언론 대응에 적극적이었다. 비대위 출범 이후엔 활동이 주춤했지만, 당시 지도부가 원외 대변인을 따로 뽑지 않아 고유의 역할 공간은 있었다. ‘김기현 체제’에서는 사정이 다르다. 김 대표가 이 전 대표 축출에 앞장섰던 친윤석열계의 압도적 지지로 당선된 데다, 김 대표의 후보 시절 캠프 공보총괄본부장을 역임한 윤희석 전 강동갑 당협위원장과 김 대변인이 원외 대변인으로 임명됐다. 당내에선 김 대표 측이 옛 대변인단에게 논평이나 언론 대응 등의 일을 맡기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익명을 요청한 이 전 대표 체제 대변인단의 한 인사는 “(대변인단 업무와 관계된 국민의힘 당직자가) ‘임기가 끝나는 4월까지 직은 유지하되, 논평은 신임 대변인단 쪽에서 주도적으로 나갈 것 같다’고 하더라. 언론 대응도 신임이 맡을 것이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당 공보실과 ‘김기현호’ 대변인단이 통상 정보 등을 공유하는 단체 대화방에도 초대되지 않았다. 이 인사는 “우리가 (당에 남은) 마지막 이준석계이지 않나. 임기 한 달 남았는데, 굳이 갈아치워서 긁어 부스럼을 만들 바에는 식물 상태로 두겠다는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