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한·일 정상회담 지지…3자 협력 강화로 이어져야”

워싱턴 | 김유진 특파원

미 국방부도 “인·태협력, 환영”

미국 백악관은 16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에 대해 지지 입장을 밝히면서 한·미·일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화상브리핑에서 이번 한·일 정상회담이 12년 만에 도쿄에서 열린 사실을 거론하며 “이번 회담에 앞서 한·일은 지난 6일 양국 간 협력과 파트너십의 새 장을 여는 참으로 역사적인 발표를 했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 6일 일제강점기 강제동원(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으로 ‘제3자 변제 방안’을 제시했다.

커비 조정관은 이어 “조 바이든 대통령은 한·일 간 역사 이슈를 해결하고 양자관계를 개선하려는 이 발표를 환영했다”며 “미국은 한·일이 이 새로운 상호 이해를 지속적인 진전으로 전환하려는 조치를 취하는 과정에서 양국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은 한·일관계 개선이 한·미·일 3자 협력 강화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커비 조정관은 “바이든 정부는 인도·태평양 전역에서 억지력과 평화 증진을 위한 (한·일과의) 양자 간 국방·안보 동맹을 강화하고자 노력해왔다”며 “미국은 한국과 일본이 상호 협력을 증진하고 한·미·일 3자 파트너십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지원해왔다”고 말했다.

커비 조정관은 그러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 두 차례 한·미·일 정상회담을 열었고, 특히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정상회담에서 안보·경제·기술 분야에서 3국의 긴밀한 관계 구축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보다 안전하고 안정되며 번영된 인도·태평양을 위한 공통의 비전을 발전시키는 게 이 파트너십의 핵심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패트릭 라이더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국과 일본은 우리의 가장 강력한 동맹국이며, 미국은 우리의 동맹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어떠한 논의도 환영한다”면서 “우리는 단결을 강화하고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위해 협력할 수 있는 모든 기회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Today`s HOT
이란-타지키스탄 공화국 대통령의 만남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합의 기념과 희생자 추모식 아르헨티나까지 이어진 겨울 산불 주간 청중의 날, 서커스 공연을 보는 교황
악천후 속 준비하는 스페이스X 스타십 로켓 발사 산불 피해 학생들, 타 학교로 이동하다.
암 치료 받은 케이트 공주, 병원에서 환자들과 소통하다. 모잠비크 다니엘 샤푸 대통령 취임식
콜롬비아의 높은 섬유 수요, 공장에서 바쁘게 일하는 직원들 산불 진압, 복구에 노력하는 소방 대원들 이스라엘-가자 휴전 협상과 인질 석방 촉구 시위 네팔의 전통적인 브라타반다 성인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