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들겨 맞는 로봇 개를 따라 개가 운다···이동우 ‘서로의 우는 소리를 배운 건 우연이었을까’

김종목 기자

이동우는 동물도감에서 밀렵과 고의 방화로 숲을 위태롭게 오가는 동물을 들여다본다. 이 시인에게 동물도감은 파괴와 훼손에 시달리는 생태계를 깨닫고 성찰하는 창이다. “불은 데려갈 수 있는 것들을 모조리 삼켰다/ 남은 책장 사이사이 다친 동물들을/ 밀렵꾼이 닥치는 대로 잡아 빼냈다”(시 ‘동물도감’ 중). “그을린 표지”에서 “황폐해진 속지”로 들어가 한 쪽씩 넘기며 동물들의 안전과 위태함을 아울러 살핀다. “황급히 책날개를 돌아선 아기 원숭이 한마리가 용케/ 제 페이지를 찾아 깊숙이 몸을 숨겼다”.

개발을 위해 일부러 지른 불이 잦아들어도 동물들은 위태위태하다. “잿더미 숲을 통째로 머리에 인 생명들이 페이지 너머로/ 서로의 생사를 묻는 밤/ 중장비 소리가 커졌다/ 동물들이 하늘에 내걸렸다”.

2015년 전태일문학상 수상자인 이동우는 첫 시집 <서로의 우는 소리를 배운 건 우연이었을까>(창비)에서 인간과 동물, 자연의 고통을 예민하게 파고들어간다. 타자의 고통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낸다.

이동우 시인. 창비 제공

이동우 시인. 창비 제공

제1부 ‘당신의 안부를 물었다’는 기후와 동물, 육식에 관해 다룬다. 첫 시 ‘꿰맨 자국’의 배경은 개발로 훼손된 갯벌이다. “덤프트럭이 인근 산들을 가시철조망 안으로 들이부었다/ 갯메꽃밭에 설치된 경고판/ 녹물이 샌다, 누구의 꿈인지 모를 꿈속으로”(‘꿰맨 자국’ 중).

기후위기나 동물위기 원인 중 하나는 인간 식탐이다. 이동우는 양떼구름을 보며 “양을 양고기라 부르며/ 뼈에서 그림자까지 발라내는 입들”(‘양떼구름 도축하기’ 중)을 떠올린다. 도축당한 먹잇감을 누가 기릴까. “쌓여가는 불판”을 바라보며 “풍장의 절차”를 생각한다.

“배달의 민족”이 도착할 때 상기하는 것도 말 그대로 생살을 찢어내는 고통과 과정이다. “염지된 닭은 날지 못한다 절인 밤을/ 씹고 우쩍우쩍 씹히고/ (중략) 좁은 철창에서 한달 남짓 산 어린 닭들, 토막 나고 튀겨져서 종이 상자에 차곡차곡 담긴다”(‘치킨은 철새다’ 중).

연중무휴 레스토랑은 “테이블마다 넘치는 미소엔/ 송곳니가 감춰져” 있는 곳이다. “비명을 씹는 우아한 몸짓들/ 요리사들이 종일 뛰어다니지만/ 세상의 허기는 여전해”(‘식탐에 관한 몇가지 소문’ 중).

표제작에 로봇 개가 등장한다. 시인은 로봇 학대와 동물 학대가 연결됨을 이렇게 썼다. “두들겨 맞는 로봇 개/ 감전에서 감정으로 이어지는 손찌검/ 뒤섞이는 쇠와 피의 비린내/ 로봇을 따라 개가 운다”(‘서로의 우는 소리를 배운 건 우연이었을까’ 중).

제2부 ‘슬픔 없는 나라로’에선 인간이 인간에게 저지른 착취와 학살로 나아간다. ‘마지막 자장가’에선 미군의 노근리 학살과 국군의 빈호아 학살을 이으며 이렇게 적었다. “노근리 옹벽에 찍힌 발톱 자국은/ 피란민 가슴속 탄흔/ 목울대 잃은 이들이 울부짖고/ 탄약 섞인 빗물에 눈이 먼 아기,/ 베트남 곳곳에 증오비가 섰다”(시 부분).

시집은 노동과 계급 문제도 다룬다. “노동은 고무보다 질겼다 신발 제조 공정마다/ 스민 땀내, 헛구역질에 끼니를 걸렀다”. 부산 삼화고무 노동자로 부마항쟁에 참여한 추송례의 일기와 관련 기사를 바탕으로 쓴 시 ‘목탄화’ 중 한 구절이다. 항쟁 40여년이 지나도 노동 착취와 소외는 대상과 형태만 바꿔가며 이어진다.

“튀는 불꽃과 고무 타는 냄새/ 정지신호를 부수고 달려야 더 바삭거리지”(‘엑스트라’ 중).

“마감 시간을 알리는 독촉 문자/ 목구멍은 새벽으로 가는 유일한 길/ 빈속을 채운 커피믹스가 신물을 밀어 올린다”(‘로켓 배송’ 중)

“밤샘 촬영 요구에 그저 웃은 건 처세도 체념도 아니었다./ 단지 필름이 돌아야 한다는, 돌아버린 것들의 멀미일 뿐.”(‘저예산 영화’ 중)

“유리 벽 화장실을 걸레질할 때 사람들은/ 여자를 못 본 척했다/ 투명하게 닦으면 닦을수록/ 여자도 투명해져갔다”(‘유리벽’ 중).

제8회 전태일문학상 수상자인 김해자가 추천사를 썼다. “여기, 시간과 관계와 감정을 끝없이 소비하며 소진되어가는 존재들에 대해 지긋이 질문하는 시인이 있다. 우리가 이렇게 살아도 되는지, 과연 이렇게라도 살 수 있는지, 울음을 듣는 귀와 통점을 느끼는 발에서 발화된 물음이 있다.”

두들겨 맞는 로봇 개를 따라 개가 운다···이동우 ‘서로의 우는 소리를 배운 건 우연이었을까’

Today`s HOT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동물원에서 엄마 곰의 사랑을 받는 아기 곰 '미카'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밤새 내린 폭우, 말라가주에 목격되는 피해 현장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베르크하임 농장에서의 어느 한가로운 날 페르시아 새해를 앞두고 이란에서 즐기는 불꽃 축제 아름다운 선행, 구조 대원들에 의해 살아난 동물들 시드니 풋볼 월드컵 예선을 준비하는 호주 선수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