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 연속 하루 13시간 근무…살려달라”

김지환 기자

IT·게임기업 76%, 여전히 포괄임금제 적용

2021년 8월10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아름드리홀에서 노동시민사회단체가 ‘포괄임금제 규제 지침 발표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2021년 8월10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아름드리홀에서 노동시민사회단체가 ‘포괄임금제 규제 지침 발표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정보기술(IT)·게임 기업 10곳 중 8곳이 포괄임금제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노동시간을 따지지 않고 매월 일정액의 시긴외근로수당을 지급하는 포괄임금제는 장시간 노동, 공짜 노동의 주원인으로 꼽힌다.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수도권지부 IT위원회는 지난달 IT·게임 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들이 소속된 111개의 회사 중 포괄임금제를 적용 중인 곳이 84곳(76%)이라고 6일 밝혔다.

포괄임금제 적용 사업장 84곳 중 74곳(88%)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장시간 노동이 만연해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39곳(46%)의 사업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심각한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고 했다.

응답자들은 자유의견을 내는 곳에 “업데이트 전 크런치 기간이라고 일일 13시간 근무를 4주 연속 한 적 있다. 살려달라” “포괄임금제가 인력 자유이용권처럼 악용되다 보니 야근을 당연하게 여긴다” “사람을 싸게 쓰는 최악의 노동제” “SI(시스텝 통합)업체라서 프로젝트 일정이 급하면 두 달이고 세 달이고 주말 없이 야근을 하는데 오전 7시부터 막차가 끊기기 직전까지 일하고 주말에도 같은 일정을 반북한 적이 많다.” 등의 메시지를 남겼다.

IT위원회는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판교의 오징어잡이 배’가 IT·게임 업계의 노동현실을 표현하는 대명사가 될 만큼 장시간 노동 실태는 심각한 수준이었다. 과로사, 과로자살 같은 가슴 아픈 일이 반복됐고, 이로 인해 2019년부터 ‘52시간 상한제’가 도입됐다”며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 보듯 여전히 IT노동자들은 포괄임금제로 인한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IT위원회는 고용노동부에 포괄임금제 폐지, 근무시간 기록 의무화, 초과노동에 대한 수당 지급을 요구할 계획이다.

IT위원회 오세윤 위원장(네이버 지회장)은 “주 69시간으로 상징되는 이번 정부안은 결국 특정기간 초장시간 노동, 즉 크런치 모드를 전 산업에 확대하겠다는 것”이라며 “크런치 모드는 노동자의 건강에 치명적이다. 사람은 기계가 아니다. 이미 건강을 해친 후 몰아서 쉰다고 해서 건강은 쉽게 회복되지 않는다. 잠을 몰아서 잘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Today`s HOT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시드니 풋볼 월드컵 예선을 준비하는 호주 선수들 아름다운 선행, 구조 대원들에 의해 살아난 동물들 페르시아 새해를 앞두고 이란에서 즐기는 불꽃 축제
산불이 일어난 후 쑥대밭이 된 미 오클라호마 베르크하임 농장에서의 어느 한가로운 날
가자지구에서 이프타르를 준비하는 사람들 밤새 내린 폭우, 말라가주에 목격되는 피해 현장
최소 6명 사망, 온두라스 로탄에 비행기 추락 사건 220명 사망, 휴전 협상 교착 상태서 공습 당한 가자지구 케냐를 국빈 방문한 네덜란드 국왕 동물원에서 엄마 곰의 사랑을 받는 아기 곰 '미카'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